중환자의학회, 의료개혁 과정서 ‘중환자’ 제외 지적
홍석경 이사 “대체인력 없는 지방 ‘번 아웃’에 사직 늘어”
조재화 회장 “질적 도약 이뤄내도록 국가적 투자 必 ”

대한중환자의학회가 25일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중환자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한 중환자의료체계 개선 논의가 시급하다고 했다(ⓒ청년의사). 
대한중환자의학회가 25일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중환자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한 중환자의료체계 개선 논의가 시급하다고 했다(ⓒ청년의사).

중환자의료를 담당하는 전문의들이 ‘번 아웃’으로 중환자실을 떠나고 있다. 전공의 사직 이후 인력 충원이 더뎌지면서 이탈 속도도 빨라졌다. 중환자실 의사들은 중환자실 업무 부담은 커지고 있지만 정부가 ‘병상 확충’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 늦기 전에 중환자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논의를 재개해야 한다고 했다.

대한중환자의학회는 25일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제25회 중환자의학회 학술대회(KSCCM-ACCC 2025)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개혁 과정에서 중환자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논의가 철저히 배제됐다고 지적했다.

홍석경 기획이사(서울아산병원)는 “대학병원은 지난해 2월 이후 수술이 많이 줄고 진료 범위가 축소됐지만 중환자실은 계속해서 운영되고 있다”며 “중환자실은 전공의 인력 의존이 높고 의사가 빠질 수 없는 공간이다 보니 고강도 노동인력이 필요해 교수들이 모두 당직을 서고 있다”고 말했다.

홍 기획이사는 “다른 진료과는 비전이 없어 그만 두는 사람들이 많지만, 중환자실은 더는 버티지 못해서 그만 두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에는 상황이 심각해 3일에 한 번 당직을 섰다. 중환자실은 업무 부담이 커 한 번 당직을 서면 한 숨도 못 잔다”며 “상황은 이런데 대체인력이 없다보니 열악한 지방부터 이탈하는 교수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박성훈 총무이사(한림대성심병원)는 “중환자실은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는 반면 의료진 일은 더 많다”며 “환자 생명과 직결된 곳이니 콜이 계속 돼 일반병실 당직과는 차이가 있다. 학술대회에 1,200명이 넘게 참여하고 있지만 마음 편히한 이들은 별로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특히 중환자의학회는 의료개혁 과정에서 중환자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논의가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인력은 턱 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병원마다 ‘최소 기준’만 충족시키는 중환자실 병상 확충만 이뤄지고 있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중환자의학회는 의정 갈등으로 중단된 중환자의료체계 개선 논의가 재개돼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홍 기획이사는 “중환자의학회 노력으로 지난해부터 중환자실 수가가 많이 인상됐다. 낙후된 수가를 현실화한 이후, 요양병원과 상급종합병원 등 종별 중환자실 등급화 정책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의정 갈등으로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환자실 기준은 최소 기준인데 기준 개선 없이 중환자 병실을 늘리자고 한다”며 “인적, 시설, 장비 등 인프라는 최소 기준을 따르기 때문에 (양적으로 늘리는 것에 대해) 걱정이 다. 의료개혁이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게 아닌 눈에 띄는 것부터 개혁하다보니 중환자는 배제됐다”고 토로했다.

중환자의학회는 외향적 확장만으로는 선진국 수준의 중환자의료체계의 질적 개선은 담보할 수 없다고 했다. 현재 우리나라 중환자의료체계가 안고 있는 문제로 ▲전담전문인력 절대적 부족 ▲진료 표준화 미비 ▲다학제 협력 등 한계 등을 꼽기도 했다.

조재화 회장(강남세브란스병원)은 “중환자 진료는 병상과 장비의 숫자로만 해결되는 영역이 아니다”라며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 생명을 지킬 수 있다. 국가 차원의 강력한 정책 개임과 개혁과제가 시급하다”고 했다.

중환자의학회는 개혁 과제로 ▲중환자의료 전담 전문의 인력 양성과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 ▲전국 단위 중환자 진료 표준화와 질 관리 체계 수립 ▲다학제 기반 협진과 중환자 재활 연계 포함한 통합 진료체계 구축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중환자의료 정책 수립과 예산 지원 강화 등을 제시했다.

조 회장은 “의료개혁 방향 속에서 중환자의료체계 강화가 제외된다면 앞으로 10년 이상 우리나라 중환자 진료 수준은 지금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며 “중환자의료체계가 단순 병상 수 확장을 넘어 질적 도약을 이뤄낼 수 있도록 근본적인 정책 전환과 국가적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