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원 감축안도 가결…“효율적인 회무 운영 발판"
앞으로 부산시의사회장은 대의원이 아닌 지역 회원들이 직접 뽑는다.
부산시의사회는 지난 18일 부산롯데호텔에서 제63차 정기대의원총회를 열고 회장 선출 방식을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바꾸는 회칙 개정안을 의결했다. 지난 2002년 직선제 전환 논의를 시작한 지 23년 만이다.
정총을 통과한 회칙 개정안에는 대의원 수 감원 내용도 담겼다. 기존 부산시의사회 대의원은 273명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는 전공의가 제외되면서 249명으로 줄어든 상태다. 부산시의사회는 대의원 수 감원 회칙 개정안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회무 운영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부산시의사회 관계자는 19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249명에서 3분의 1을 줄일 계획"이라며 "단, 이 규정이 적용되는 오는 2027년 전공의들이 돌아온다면 감원 대상인 대의원 기준은 273명"이라고 했다.
정총에서는 단합과 대화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대의원회 박연 의장은 “정부가 밀어붙인 의료개혁으로 의대 교육현장이 무너졌다”며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외롭게 버텨온 후배들과 한마음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김태진 회장은 “무너진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와 전공의들의 안정적인 수련 환경 조성, 그리고 정부와 의료계, 정치권의 지속적 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부산시의사회는 오는 4월 열리는 대한의사협회 정총에 제출할 의안으로 ▲의대 증원 등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원점 재검토 및 적극 저지 ▲정부가 입안한 잘못된 의료정책을 저지하기 위한 의사들의 단체 행동권 확보 등을 채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