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5시 탄핵소추안 표결…탄핵사유 보강
긴급체포결의안 채택 검토…“실익 판단 위해 논의”
‘탄핵 반대’ 권성동 원내대표 “협상 대상 인정 안해”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을 투 트랙으로 압박한다. 탄핵소추안에 더해 긴급체포결의안 추진을 검토키로 했다(ⓒ청년의사).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을 투 트랙으로 압박한다. 탄핵소추안에 더해 긴급체포결의안 추진을 검토키로 했다(ⓒ청년의사).

더불어민주당인 윤석열 대통령을 투 트랙으로 압박한다. 민주당은 오는 14일 오후 5시 본회의에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상정해 표결한다. 동시에 당 차원에서 긴급체포결의안 추진을 검토하기로 했다.

민주당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12일 오후 의원총회를 마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탄핵소추안 표결 일정을 당겨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지만 소추안 내용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컸다. 이전 박근혜 탄핵 때도 탄핵사유를 보강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시간이 지체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노 대변인은 “(헌법재판소) 심판 지체 가능성 여부를 보고 가장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발의 시간을 더 갖자고 이야기 했다”며 “지금 거의 성안이 됐고 발의하는 절차만 남았다”고 했다. 탄핵 사유에 대해서는 내란 혐의 외에 시행령 통치, 습관적 거부권 행사 등을 들었다.

민주당 차원의 긴급체포결의안도 의원총회에서 검토할 예정이다.

노 대변인은 “의원들 사이 오늘 나온 담화에 대한 충격파가 크고 국민들도 매우 불안해하고 있기 때문에 당 차원의 긴급체포결의안이라도 채택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다. 실익을 판단하기 위해 논의를 더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국민의힘 원내대표로 선출된 권성동 의원에 대해 “협상 대상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노 대변인은 “권 원내대표 선출이 매우 부당하고 국민의 뜻을 역행해도 정면으로 역행한 결정이 여당에서 이뤄졌다”며 “권 의원과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는 일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대표 선출 이후 권 의원이 탄핵 관련 당론 변경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탄핵 부결이 당론이라고 재확인하고 이를 바꾸려면 3분의 2 동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는 안 하겠다는 것”이라며 “당권을 놓고 친윤 세력이 행동을 실행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이날 “대통령 탄핵을 당론으로 찬성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하지만 권 의원은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권 의원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 종료 직후 “(당에서) 탄핵을 반대하고 부결하자는 게 원내대표 되기 이전에 결정됐기 때문에 다시 한 번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올라오면 의원총회를 열고 의견을 모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윤 대통령 탄핵에 공개 찬성한 국민의힘 의원은 김상욱·김예지·김재섭·안철수·조경태·진종오·한지아 등 7명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