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의료수가 연동 임금 인상안' 제시에 "사실상 임금 하락"
기본급 인상 조건 촉구…"요구 거부하면 전국적 투쟁"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분회는 10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대병원 측을 규탄했다(사진제공: 의료연대본부).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분회는 10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대병원 측을 규탄했다(사진제공: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 노사가 기본급 인상안을 두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울산대병원분회는 지난 10일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울산대병원 노조는 9월부터 사측과 교섭을 이어오고 있지만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노조에 따르면 사측은 노조 측에 향후 5년 동안 임금을 의료수가 인상과 연계해 지급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에 노조는 사실상 임금 하락에 합의하는 방안이라며 반발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사측은 향후 5년동안 의료수가 인상률과 임금 인상을 연동하겠다고 했지만, 지난 10년간 의료수가 평균 인상률은 1.7%에 불과하다"며 "실제로는 생애임금이 하락될 수 있다. 근로조건 개선이 아닌 후퇴를 받아들이라고 강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당 방안은 매년 물가인상률과 경제성장률을 반영해야 할 임금교섭을 무력화하고 전 직원의 임금 인상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안을 강요하는 것"이라며 "병원의 돈 벌이를 위해 국민의 부담 증가는 무시하고 (정부에) 의료수가 인상을 요구하는 부도덕한 행위를 강요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의료연대본부는 울산대병원 노조와 "함께 투쟁하겠다"며 사측에 임금 인상안을 철회하고 기본급 인상으로 근로조건을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울산대병원 직원들의 생애 임금 손실과 건강보험 공공성을 훼손하는 개악안을 막기 위해 투쟁할 것"이라며 "울산대병원이 노조의 정당한 요구를 거부한다면 전국으로 투쟁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