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상 축소 관련 정부에 건의 등 합의 도출

서울대병원 노사가 24일 잠정 합의안에 타결하면서 노조 측이 파업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사진제공: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 분회).
서울대병원 노사가 24일 잠정 합의안에 타결하면서 노조 측이 파업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사진제공: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 분회).

오는 31일 무기한 파업을 예고했던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이 사측과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며 파업을 철회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는 지난 24일 사측과 잠정 합의안을 체결하고 가조인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협의 사항으로는 ▲공공병상 축소되지 않도록 국립대병원협회에서 정부에 건의 ▲어린이 환자 병원비 부담 경감하는 제도에 대해 정부에 건의 ▲진료지원간호사에 대한 간호등급제 인력기준에서 제외와 업무영역 벗어난 의료행위 지시 금지 ▲의료대란을 이유로 직원에 대한 신분상 불이익 강요 금지가 있다.

노조는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개혁안에는 상급종합병원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병상 수를 축소하는 안이 포함돼 있다”며 “서울대병원이 앞장서서 공공병상이 축소되지 않도록 하고 국립대병원협회 차원에서 정부에 이를 건의하도록 하는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말했다.

노조는 “정부의 시범사업으로 병동 간호인력 일부가 진료지원 간호사로 전환됐지만 병동 간호인력이 빠진 자리에 간호인력이 충원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해 간호등급제 인력 기준에 진료지원 간호사가 포함되지 않도록 했다”고 했다.

의료공공성 강화 투쟁은 “진행 중”이라고 했다. 노조는 “이번 투쟁은 의료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끈질긴 투쟁의 결과”라며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앞으로 환자와 노동자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한 병원을 위해 투쟁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