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2023년 환자경험평가' 결과 공개

'2023년(4차) 환자경험 적정성 평가' 결과 회진시간에 진료 정보를 설명듣고 의사와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는 여전히 어렵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청년의사 DB).
'2023년(4차) 환자경험 적정성 평가' 결과 회진시간에 진료 정보를 설명듣고 의사와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는 여전히 어렵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청년의사 DB).

회진시간에 진료 정보를 듣고 의사와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는 여전히 어렵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5일 ‘2023년(4차) 환자경험 적정성 평가’ 결과를 심평원 홈페이지와 건강e음 앱을 통해 공개했다.

환자경험평가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개인의 선호, 필요 및 가치에 상응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았는지 등을 확인하는 평가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 질 향상을 위해 2017년 처음 도입해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2023년 환자경험평가는 기존 전화 설문조사 방법에서 모바일웹 설문조사 방법으로 전환했으며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약 5개월간 전체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374개 기관의 퇴원환자 47만6,12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종 6만4,246명이 응답을 완료했다. 이는 3차 평가 전화조사 응답자 5만8,297명 대비 10.2% 증가한 수치다. 응답률은 평균 13.6%로 3차 평가 14.6%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평가결과, 종합점수는 82.44점이었으며 6개 영역 모두 평균 80점 이상이었다. 평가영역별 평균 점수는 ▲간호사 영역 85.03점 ▲전반적 평가 83.83점 ▲투약 및 치료과정 83.06점 ▲병원 환경 81.15점 ▲의사 영역 81.11점 ▲환자권리보장 80.02점 순이었다.

이 중 의사 영역 문항별 점수는 ‘의사가 환자를 존중하고 예의있게 행동한다’는 문항이 85.8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자의 말을 경청한다’는 문항이 85.16점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회진시간 관련 정보 제공’과 ‘의사와 만나 이야기할 기회’는 각각 78.88점과 75.02점으로 평균을 밑돌았다.

하지만 회진시간 관련 정보제공은 1차 평가 76.96점, 2차 76.60점, 3차 77.25점, 4차 78.38점으로 점차 좋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의사와 만나 이야기할 기회 역시 1차 74.63점, 2차 74.37점, 3차 74.18점, 4차 75.02점으로 꾸준히 향상됐다.

한편 심평원은 비교적 낮은 점수가 지속되는 평가 결과 개선 유도를 위해 ‘질 향상 활동 우수 사례집’을 제작‧배포해 의료기관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하위 기관‧신규 참여 기관 등을 대상으로 평가 결과 분석 및 상담 등 맞춤형 질 향상 지원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모바일웹 환경에 적절한 평가도구 개선 및 환자경험평가 단계별 확대 등 세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환자경험 평가도구 개발 및 평가확대 방안 마련’ 연구를 수행 중이다.

심평원 평가관리실 김기원 실장은 “환자 참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모바일웹 조사 도입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 질 향상에 의미 있는 첫 걸음이라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의료계, 환자‧소비자, 학계와 함께 환자중심 의료문화를 만들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