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병의원협회 "정부, 필수의료 붕괴 책임 회피"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 증원과 정책 패키지로 필수의료를 살리겠다고 하지만 현장은 이를 폐기하고 제대로 된 대책을 내라는 목소리가 거세다. 인프라가 빠른 속도로 무너지고 있는 분만 분야도 마찬가지다.
대한분만병의원협회는 26일 성명을 내고 의대 정원 증원 철회와 현실적인 필수의료 정책 수립을 요구했다. 의료계 압박도 멈추라고 했다.
분만병의원협회는 정부가 필수의료 붕괴 책임을 "의사에게 돌리다 못해 의사를 늘려 해결한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말도 안 되는 근거를 내세워 근시안적인 판단을 했다"고 지적했다.
우선 의사가 많아지면 "전국 곳곳 응급실이 늘어나고 분만병원이 늘어난다니 정말 어처구니없는 생각"이라고 했다. 분만병의원협회는 "분만병원이 문을 닫고 산부인과 전문의가 분만을 기피하고 심지어 다른 과로 전향한 원인이 무엇인지 먼저 생각하라"고 했다.
필수의료 시스템 구축은 "의사를 늘려서 해결되지 않는다"며 "떠난 산부인과 전문의가 본업으로 돌아와 필수의료인 분만을 담당할 수 있는 의료 환경 마련이 더 효율적이다. 필수의료를 맡은 의료인 모두의 바람"이라고 했다.
분만병의원협회는 "병원 운영이 문제없도록 의료 수가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인상하고 제도를 개선해 의료인이 의료사고가 두려워 안정적으로 진료 업무를 보지 못하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며 "아울러 지역 의료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필수의료 붕괴 책임을 의사에게 돌리고 의사를 늘려 어쩔 수 없이 필수의료를 책임지게 한다는 일차원적인 생각으로 국민 생명을 위협한다"며 "이런 근시안적인 정책에 반대하고 대한의사협회와 함께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대통령發 사법 리스크 완화?…"10년 내내 말했지만 무시"
- “58만 시흥시에 분만 가능 병원 1곳…인프라 붕괴”
- 政 소집에 병원장들 “이미 물 엎질러 놓고 무슨 소용” 냉소
- 필수의료 지원해도 될까…관심 있지만 주저하는 의대생들
- "설명의무를 다하지 않았다"…의사에게 '불가능' 요구하는 법원
- 끝없는 소송에 '만신창이' 된 산부인과…"국가가 보호를" 호소
- 분만사고에 의료진 설명의무 지적한 法…"골든타임에도?"
- 의사 늘리면 문제 해결된다는 ‘환상’…“이대로면 의료붕괴”
- 분만의 떠나는데 의대 증원 낙수효과?…"'낙수 의사' 기다리나"
- "수술 지연하고 태아 방치해 사망"…분만의들 4억원 배상 판결
- '가르칠 교수도 배울 학생도 없는' 산부인과 현장…30% "GP 하겠다"
- '10억원 소송 시대' 무너진 분만 인프라…현직 판사조차 "가혹하다"
- 전국 의대 학장들 ‘의대 정원 신청 마감’ 연기 요청
- 政, 전임의 ‘엑소더스’ 발생할까 초긴장…전공의 복귀에 안간힘
- 신현영 의원 “政-醫, 환자 위한 대타협 중재안 마련해야”
- 인의협 "정부 의대 증원안과 전공의 파업 모두 지지 못해"
- 산부인과 레지던트 절대 다수 '수련 포기'…"이대로면 파국"
- "함께 일할 동료가 없다"…대학병원 산과 전문의 75% '사직 고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