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모, 수련병원별 전공의 대표 정보 수집 요구 ‘반발’
“젊은 의사들 필수의료 기피 이유 더 강화하는 복지부”
대한전공의협의회가 단체행동 가능성을 거론한 다음 날 보건복지부가 수련병원별 전공의 대표 개인 정보 수집을 요구하자 의사단체도 “사찰을 중단하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장인 미래를 생각하는 의사모임 임현택 대표는 지난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0년 전공의 투쟁 때 응급실과 중환자실, 분만실 등 병원 필수기능은 의사들이 자체적으로 유지했고 전공의 빈자리를 교수와 전임의들이 메워 공백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정부가 전공의들을 압박할 목적으로 전공의들을 고발조치 했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당시 외과, 내과, 신경외과 등 지금 부족하다는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들이 주로 고발당했고 이를 지켜보던 젊은 의사와 의대생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며 “정부가 국민건강을 지키겠다면서 오히려 생명을 지키는 최전선에 있는 필수의료 과목 젊은 의사들을 고발함으로써 기피 경향이 더욱 뚜렷해졌다는 것”이라고 했다.
임 대표는 “필수의료를 살리겠다는 정부가 의사들이 필수의료를 기피하는 이유를 강화시키는 일만 하고 있다. 젊은 의사들을 공권력으로 억누르는 것은 오히려 더 큰 반발과 투쟁만 불러올 뿐”이라며 “민간 사찰하듯 젊은 의사들을 함부로 겁박한다면 선배 의사들이 기꺼이 지사(志士)가 돼 후배들을 보호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관련기사
- 醫, 대통령실 앞에서 의대 증원 규탄 집회…"'생즉사 사즉생' 각오"
- '전공의 사찰 논란'에 복지부 "소통 목적"
- “수평위 이렇게 이용하나”…정부 전공의 대표 정보 수집에 반발
- 醫-政, 의학교육 질 향상 필요성에 공감…문제는 ‘신뢰’
- 전공의 움직이자 의대생들도 '술렁…"동맹휴학 결정하면 동참"
- 의사단체, ‘전공의 단체행동’ 경고한 정부에 “왜 의사만 처벌”
- 먼저 나선 전공의들…대전협→의협으로 '단체행동' 부활?
- "중증도 높아야 필수의료? 팬데믹 최일선 이비인후과도 고려해야"
- 전공의 '단체행동' 시사하자 의사회 지지 선언 잇따라
- '입틀막'도 정면돌파…거침 없는 임현택 당선인의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