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구 전 의학회장 “전공의 폭행, 개인문제 아니다”
의학교육학회 이영미 학술이사 “교육자 평가 필요”

대한의학회장을 지낸 경희의대 장성구 명예교수는 16일 열린 의학회 학술대회 한국의학교육학회 세션에서 전공의 폭행 문제를 꺼내며 교수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했다(
대한의학회장을 지낸 경희의대 장성구 명예교수는 16일 열린 의학회 학술대회 한국의학교육학회 세션에서 전공의 폭행 문제를 꺼내며 교수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했다(ⓒ).

수련교육 현장에서 전공의 폭행 사건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자 지도전문의인 교수를 교육시키고 평가하는 체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의학계 내에서 나왔다.

이는 한국의학교육학회가 16일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의학교육 연속성(Continuity of Medical Education)’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의학교육학회 윤보영 총무이사와 안덕선 전 의학교육학회장이 발표한 역량 바탕 의학교육 연속성 구현 방안에 대한 패널토의까지 지켜본 장성구 전 의학회장은 발언기회를 얻어 교수의 전공의 폭행 문제를 꺼냈다.

장 전 회장은 “의학교육은 좋든 싫은 소위 교육자가 롤모델이 된다. 지금 관심 대상이 피교육자인 의대생과 전공의들인데 이들을 교육하는 교수들에 대한 평가는 전혀 하지 않고 있다”며 “지금과 같은 상태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엽적인 얘기가 될지는 모르지만 전공의 폭행사건이 벌어진다. 이건 교수와 전공의 개인 간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교수가 전공의를 폭행한 사건이 발생하면 사회적 파장도 크지만 그런 교수에게 트레이닝을 받은 의사가 (자기가 가르치는) 전공의를 폭행한다”고 했다. 악습이 대물림된다는 지적이다.

그는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세부전공을 선택할 때 유독 특정과를 안가는 경향을 보일 때가 있다. 살펴보면 분위기가 엉망진창인 과다. 자기들끼리 쌈박질하고 그런다”며 “어른들이니 놔주자고 해서는 안된다.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학교육학회 이영미 학술이사(고려의대)도 동의했다. 이 이사는 “의학교육자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교수개발을 얼마나 하고 실질적으로 이행하고 있는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마련한 가이드라인에 얼마나 맞추고 있는지 등에 대한 평가가 피교육자 교육평가에 못 미친다”며 “중견 교수 대상 워크숍을 하는 대학도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이사는 “임상 교수 대상 교수개발 등은 병원이나 의료원에서 주관하지 않으면 강제할 방법이 전혀 없다”며 “지도전문의가 되려는 교수에 대한 역량 개발과 평가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료하면서 교수개발 교육에도 참여하고 노력해 달라고 말하는 게 죄송하다. 정부와 병원 차원에서 교수들이 가르치는 방법을 공부할 수 있도록 시간적 여유나 보상을 줘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평가체계를 만들어놔도 그 기능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