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시간 내 응급실 못간 중증응급환자 71만명
민주당 최혜영 의원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해야"
최근 5년간 중증 응급 환자 2명 중 1명은 골든타임 내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은 11일 국립중앙의료원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5년간 중증 응급 환자 145만명 중 49.1%에 달하는 약 71만명이 적정 시간 내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중증 응급 환자 중 적정 시간 내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하는 환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체 중증 응급환자 중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환자 비율은 2018년 47.2%에서 2022년 52.1%로 약 5%p 증가했다.
질병별로는 심근경색, 출혈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중증외상 등 모든 환자의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비율이 지난 5년간 증가했다.
특히 중증외상환자의 경우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비율이 2018년 48.5%에서 2022년 56.5%로 약 8%p 늘었다.
최 의원은 “최근 추락사고 발생 이후 140여 분 동안 응급실을 찾지 못해 결국 10대 응급환자가 사망한 속칭 응급실 뺑뺑이 사건으로 온 국민이 대한민국 응급의료체계를 우려하고 있다”며 “그동안 정부는 응급의료에 재정지원을 쏟아가며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응급실에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하는 환자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지난 3월 보건복지부는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통해 응급의료서비스의 재도약으로 전국 어디서나 최종치료까지 책임지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중증 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내에 응급실에 도착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해 조속히 시행하기 바란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