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정규직 임금 인상 명목, 인건비 부풀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8년간 인건비 약 6,000억원을 부풀려 직원들에게 분할 지급했다가 적발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약 8년간 약 6,000억원의 인건비를 정부 지침을 위반해 과다하게 편성하고 이를 직원들끼리 나눠 가진 사실을 적발해 감독기관에 이첩했다고 6일 밝혔다.
준정부기관인 공단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과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운용지침’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정부가 정한 한도 이내에서 인건비를 편성해야 한다.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운용지침’, ‘공공기관 경영평가 편람’ 등 관련 규정에서는 공단의 팀원급(4~6급) 인건비 편성 시 5급, 6급의 초과 현원에 대해 상위직급의 결원이 있다 하더라도 상위직급이 아닌 본래 직급의 보수를 적용해 인건비를 편성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권익위에 따르면 공단은 관련 규정을 위반해 5급과 6급 현원에 대해 상위직급인 4급과 5급의 보수를 적용하는 등 인건비를 편법 편성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8년간 총 5,995억원을 과다 편성했다.
공단은 이와 같은 편법으로 과다하게 편성한 인건비를 연말에 ‘정규직 임금인상’이라는 명목으로 직급별로 분할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권익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지난 2024년에 해당 위반 사실을 적발하고 2023년도 초과편성분 1,443억원에 대해서만 향후 인건비에서 감액하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권익위는 기존 감액 조치에 포함되지 않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총인건비 4,552억원도 과다하게 산정된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권익위는 공단의 지난 8년간 인건비 과다 편성에 대한 제재와 2024년 이후 공단이 인건비 편성 정부 지침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공단 감독기관에 이 사건을 이첩했다.
권익위 유철환 위원장은 “이번 사건은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 수년간 법령과 정부의 지침을 무시하고 자의적으로 인건비를 집행한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기관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기 위해 이번 사건과 같은 유사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조치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도 권익위는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 투명하고 청렴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지난해 전체 진료비 128조…1인당 월평균 21만원
- 법원도 병원 책임없다는 ‘낙상환자’ 진료비를 공단은 왜 청구했나
- 희귀·암 환자 약값 못 대는데, 첩약에 300억? 급여 타당성 도마
- 한방 자보 과잉진료 도마…“경상 4.8% 늘었는데 보험금은 85%↑”
- 건보료 결손처리, 최근 5년간 1조6000억…소액 체납 67%
- 사이버공격 받는 공단, 올해 8월까지 해킹시도 7만건 넘어
- 인건비 6천억 부풀린 공단에 醫 "특사경? '도둑'에 어떻게 맡기나"
- 환자단체 "환자 치료비를 공단 인건비로? 전액 환수해야"
- 공단 ‘인건비 부풀리기’ 진실 공방?…"금액 차 커"
- "개인건강정보 민간기업 개방…의료 민영화 정책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