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과醫, 소화기내시경학회 '질 저하' 반발에 반박 성명
"가정의학과 평가 역량 확인돼…모든 과 동일 기준 인정을"
가정의학과가 암검진 내시경 인증의 자격 확대에 반발하는 내과계의 "배타적 독점"이야말로 검사 "질 저하"로 이어진다며 "열린 자세"를 요구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암검진 내시경학 분야 평가 지표' 중 인력 평가 관련 지침을 개정해 대한가정의학회와 대한외과학회 내시경 인증의와 연수교육도 인정하기로 했다. 기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와 대한위장내시경학회에서 인정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지난 29일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소화기내시경학회와 대한내과의사회는 "암검진 질 저하로 이어진다"며 반발했다. 소화기내시경학회는 "매우 위험한 결정"이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법적 대응도 예고했다(관련 기사: 내시경 인증 자격 외과·가정의학과로 확대…내과 “질 저하” 반발).
가정의학과도 움직였다.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는 30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오는 2025년 5주기 평가부터 가정의학회 내시경 인증과 교육을 "정당하게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가정의학회가 이미 "내시경 검사 전문성을 다룬 역대 교육과 인증 자료를 복지부에 제출"했고 "내시경 검사의 적정성을 평가할 역량이 있음을 객관적으로 밝혔다"고 했다.
이번 조치가 내시경 검사 질 저하로 이어질 거란 내과계 경고에는 "특정 과의 배타적 독점"이야말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받아쳤다.
가정의학과의사회는 "국가검진 내시경 검사가 확대될수록 질 관리를 철저히 하려면 개방해야 한다"고 했다. 암검진 내시경 검사는 늘고 "의사 1명이 내시경 검사를 하루 30건 이상 하는 일이 허다하다"면서 "검사 질 향상에 결코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런데도 "가정의학회와 외과학회 연수교육 인정 시 평가 업무 자체를 보이콧하겠다는 소화기내시경학회 태도는 국민 건강 증진에 반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을 위해 내시경 검사 표준화와 인증은 연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적정한 자격을 갖춘 모든 과가 동일 기준에서 학술대회와 연수강좌를 인정받아야 한다"며 "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두고" 가정의학회는 물론 "대한외과의사회·외과학회와 뜻을 같이해 끝까지 공동 대응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내시경 인증 자격 외과·가정의학과로 확대…내과 “질 저하” 반발
- "내시경 인증 '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아야…'다음에'는 없다"
- 가정의학과醫, 공단 찾아 내시경 자격 기준 개선 요청
- 가정의학회 “소화기내시경학회 카르텔” 내시경 인증 자격 확대 요구
- 소화기내과vs외과 내시경 인증의 자격 갈등, 회원 징계 논란으로
- 외과학회 “내시경 인증자격 확대 반발 법적 대응? 우리도 할 것”
- 내시경 인증의 확대에 내과계 “외과·가정의학과 질 담보 불확실"
- 위내시경·초음파 ‘학원’ 등장…학회 “자격 미달 내시경 의사 봇물”
- 복지부 "내시경 인증 자격 확대? 아직 결정된 것 없다"
- 외과계 공동 성명 내고 "내시경 인증 자격 확대" 촉구
- 내시경 인증 논란 소송전 비화?…가정·외과, "불공정 구조 바꿔야"
- 내시경 인증 논란…가정의학과·외과 "'반쪽짜리' 결과 수용 못해"
- '내시경의 날'? 내과·가정의학과·외과 동시 행사…길어지는 인증교육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