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들 교원 채용 시작…의사 국시 1년 미뤄야 목소리도
진선미 의원 “채용 계획 하달 말고 추가 대책 고민해야”

의대 정원 증원 여파로 의대 교육이 마비된 상황에서 정부가 추가 대책에 대한 고민 없이 증원에 다른 전임교수 확보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청년의사).
의대 정원 증원 여파로 의대 교육이 마비된 상황에서 정부가 추가 대책에 대한 고민 없이 증원에 다른 전임교수 확보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청년의사).

의대 정원 증원 여파로 의대 교육이 마비됐지만 정부가 추가 대책에 대한 고민 없이 증원에 따른 전임교수 확보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5년 국립의대 교원 정원 가배정 규모 자료’에 따르면 국립의대 9곳에서 내년도 채용 예정인 전임교원은 총 330명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인원을 배정 받은 곳은 50명의 전임교수 정원 통보를 받은 부산의대였다. 이어 경북의대와 경상국립의대가 각각 44명이었고, 전남의대 43명, 충남의대 41명, 충북의대 35명, 전북의대 32명, 강원의대 23명, 제주의대 18명 순이었다.

교육부는 지난달 2025학년도 의대생 증원에 따라 각 국립의대 전임교수 정원 가배정 알림을 통보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립대들은 10월 초부터 교원 채용 공고를 진행, 배정 인원과 지원 규모 등을 고려해 최종 선발할 방침이다.

이에 따른 정부 확정 예산 중 국립의대 9곳에 배정된 금액은 1,290억6,600만원 수준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시설 확충과 보수 명목으로 1,252억원 ▲실습기자재 마련 등 명목으로 38억6,600만원이 확정됐다.

국립대가 교육부에 요청한 예산과 배정 예산 차이가 크게 벌어진 곳도 있었다. 경상국립대는 초기 교육부 신청 예산으로 43억9,700만원을 산정해 제출했으나, 최종 예산은 11억6,500만원을 통보 받기도 했다.

더불어 국립대들은 현재 기준 예과 1학년부터 본과 4학년까지 총 6개 학년 의대생들의 정상 교육 이수가 불가능할 경우 의사 국가고시를 일정을 미뤄야 한다는 점도 명시했다.

구체적으로 예과 1학년 학생들의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수할 수 없는 경우 의사 국기를 오는 2023년 1월로 미뤄야 하고, 본과 4학년의 경우 기존 2025년 1월이 아닌 2026년 1월에 치를 수 있게 1년 연장해야 한다고 했다.

진 의원은 “의대 교육 전체 시스템이 마비됐다.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내년도 국립의대 교원 채용과 관련해 어느 정도 규모의 지원자들이 응시할지 예측되지 않는다”며 “채용 계획만 하달하지 말고 추가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