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시스템 붕괴 걷잡을 수 없어…“죽고 사는 문제부터”
"의대 정원 증원 약속 하에 2025년 정원 증원 유예 必"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은 '1년 유예'안을 의료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한 해결책이라고 거듭 강조했다(ⓒ청년의사).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은 '1년 유예'안을 의료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한 해결책이라고 거듭 강조했다(ⓒ청년의사).

의정 갈등 장기화로 걷잡을 수 없이 망가지고 있는 의료 시스템 붕괴를 조금이라도 늦추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재검토에 대한 대통령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여권 내에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안 의원은 지난 23일 YTN라디오 ‘이슈&피플’에 출연해 “대통령이 지금 상황을 객관적으로 봤으면 좋겠다”며 “이대로 가면 의료비가 치솟아 불행히도 빨리 수술 받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들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지금 상태는 불행히도 커다란 두 가지 손해 중 어떤 선택을 해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태”라며 의료 시스템 붕괴와 대학 입시제도 혼란 가운데 “죽고 사는 문제”인 의료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한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안 의원은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1년 동안 기다렸던 학생들이 피해를 받게 되고 반대로 교육제도가 손해 보지 않도록 하려면 의료 시스템이 붕괴돼 추락한다. 결국 죽고 사는 문제인 의료 시스템부터 제대로 구하자는 뜻”이라고 말했다.

의대생과 전공의를 다시 돌아오게 할 2025학년도 의대 정원 1년 유예 방안이 의료대란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의료대란의 핵심은 의대생과 전공의가 돌아오지 않는 것”이라며 “이들이 안 돌아오니 응급실이 폐쇄되고 있다. 지방의료원에 있던 의사들이 사표를 내고 서울로 오고 필수의료 의사들이 피부미용과 성형을 하고 있다. 개혁이 더 좋은 방향으로 가야 하는데 거꾸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의대생과 전공의가 돌아오게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밖에 없다. 2025학년도 정원을 유예하고 공론화 위원회를 꾸려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느 정도 증원은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때문에 의대 정원 증원은 하자는 약속 하에 (2025학년도 증원 유예를) 해야 한다”고도 했다.

안 의원은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 붕괴를 막으려면 일단 그것(의대 증원 유예)까지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한 테이블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자는 것”이라며 “그러면 어느 정도 중간 값이 나올 수 있지 않겠나. 그렇게 문제를 풀어나가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