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과 별개 강조…"개혁적이고 올바른 목소리 내겠다"

대한의사협회 채동영 홍보이사 겸 부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가칭)'젊은의사 정책자문단'을 구성한 이유를 설명했다(의협 유튜브 채널 KMA TV 화면 갈무리).
대한의사협회 채동영 홍보이사 겸 부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가칭)'젊은의사 정책자문단'을 구성한 이유를 설명했다(의협 유튜브 채널 KMA TV 화면 갈무리).

대한의사협회는 전공의와 의대생 중심 (가칭)‘젊은의사 정책자문단’이 정책 생산 조직이라고 선을 그었다. 자문단 내에서 마련한 정책을 갖고 정부와 협상을 진행할 계획은 없다고 했다.

의협 채동영 홍보이사 겸 부대변인은 21일 서울 용산구 회관에서 가진 일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젊은의사 정책자문단은 의협 ‘젊은 의사가 제안하는 의료정책 공모전’ 수상자 5명 등 전공의와 의대생 10명으로 구성된다. 채 부대변인도 사직 전공의로 정책자문단에 참여한다.

채 부대변인은 “젊은 의사, 의대생이 제안한 정책 수준이 높은 것을 보며 의료정책의 변화에 대한 젊은 의사, 의대생의 목마름을 실감했다”며 “책상 앞에 앉아 그저 의사 악마화, 의사 때려잡기에 집중한 정부와 대비됐다”고 말했다.

채 부대변인은 “향후 제시한 정책과 관련해 국회 공청회를 열거나 정부에 제안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책자문단은 정부와 협상하는 기구가 전혀 아니다. (정부와) 협상이 가능할 리도 없거니와 정책 공모전에서 제안된 내용 대부분이 응급의료, 지역의료와 관련이 있는데 실질적으로 협상할 만한 내용은 아니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정책자문단 구성을 두고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논의한 적이 없다며 별개 조직이라고 했다. 채 부대변인은 “(정책자문단을 구성하면서) 대전협 집행부와 소통한 바는 없다”며 “정책을 결정하고 정책적 의견을 듣기 위한 기구인데 딱히 어떤 단체의 대표일 필요는 없다. 앞으로도 공개된 장소에서 참여할 사람을 중심으로 모집할 예정”이라고 했다.

채 부대변인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당사자가 직접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목소리를 높이면 의협은 이를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겠다”며 “우리나라의 주역이 될 젊은이들이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 당연히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협이 회원과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수많은 개인과 집단의 이권이 개입돼 공정하고 중립적인 정책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젊은 의사들은 그런 부분에서 자유롭기에 더 개혁적이고 올바른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