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 당근 제시하며 채찍 휘둘러”
“의대 증원 백지화해야 전공의 복귀”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참고인 신분으로 경찰 조사를 받게 되자 전라남도의사회는 "전공의 탄압"이라며 반발했다. 사진은 지난 2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박 위원장 모습.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참고인 신분으로 경찰 조사를 받게 되자 전라남도의사회는 "전공의 탄압"이라며 반발했다. 사진은 지난 2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박 위원장 모습.

경찰이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다며 소환하자 의료계는 “전공의 탄압”이라며 반발했다.

전라남도의사회는 8일 성명을 내고 박 위원장에 대한 조사가 참고인에서 피의자로 전환돼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경찰 조사 중단을 요구했다. “전공의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면 전면 파업도 불사하겠다”고도 했다.

전남의사회는 “정부는 지속적으로 전공의에 대한 행정조치는 철회했다고 하지만 취소 조치가 아니며 ‘집단이탈 교사·방조’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해 왔다”며 “(박 위원장에 대한 조사가) 피의자 조사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우려했다.

전남의사회는 정부가 전공의 사직 허용과 하반기 모집 실패로 “무리수를 두고 있다”며 “전공의를 압박하기 위해 개원면허제를 다시 언급하다가 한덕수 국무총리는 하반기 모집 기간을 연장한다고 했다. 마치 먹지 못하는 상한 당근을 제시하며 전기 채찍만 휘두르는 모양새”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공의들이 복귀하려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백지화해야 한다고 했다. 전남의사회는 “정부는 아직도 전공의 사직 사태가 일부 강경 전공의에 의한 것이 아니고 대다수 전공의 개개인의 양심과 자유에 의한 것임을 깨닫지 못하는가”라며 “모든 사건의 발단이 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는 것만이 전공의들을 돌아오게 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