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민 대의원회 의장, 인수위 공문 오류 지적
"현 비대위원장 임기 4월 말까지가 운영위 규정"
인수위, "당선인 희망 표한 것"…'분열' 해석은 경계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 당선인이 비상대책위원장을 겸하겠다고 밝혔으나 비대위 구성을 결정한 대의원회는 절차상 이유를 들어 어렵다는 뜻을 비쳤다. 임 당선인 측이 제시한 비대위원장 수행 근거에도 오류가 있다고 했다.
임 당선인 인수위원회는 8일 비대위와 대의원회에 공문을 보내 "임 당선인의 비대위원장 수행 협조"를 요청했다. 김택우 비대위원장이 이끄는 현 비대위가 "임 당선인 뜻과 배치되는 의사결정과 대외 의견 표명을 여러 차례" 했고 "이로 인해 극심한 내외 혼선"을 빚었다는 이유다.
현 비대위는 지난 2월 임시대의원 총회 의결로 구성됐다. 대의원회 운영위원회가 비대위원장 선출을 위임받아 김 비대위원장을 지명했다. 임 당선인은 당선 직후 공동 비대위원장으로 활동하겠다고 밝혔으나 김 비대위원장 등과 상의한 끝에 현재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인수위에 따르면 당시 김 비대위원장은 "임 당선인의 뜻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한정해 단독 위원장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그 뒤로 임 당선인과 비대위 의견은 여러 번 엇갈렸다. 여기에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윤석열 대통령 만남 이후 '의료계 분열' 논란이 거세지자 임 당선인 측이 마음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는 임 당선인의 비대위원장직 수행 근거도 제시했다. 대의원회로부터 비대위원장 선출을 위임받은 "운영위원회에서는 신임 회장 선출 시 신임 회장이 비대위원장을 맡기로 확정한 후, 그 기간까지"를 김 비대위원장 임기로 정했다고 했다.
대의원회 "김 위원장 임기 4월말…인수위 주장 근거 없다"
그러나 대의원회 입장은 다르다. 인수위가 제시한 근거를 "확정 지은 바가 없다"고 했다. 김 비대위원장 임기는 정기대의원총회가 열리는 "4월 말까지"라고 분명히 했다. 인수위가 공문 내용 자체를 잘못 기재했다는 것이다.
대의원회 박성민 의장은 공문 발송 직후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김 비대위원장 임기는 4월 말까지다. 운영위가 마련한 비대위 운영 규정도 이를 명시했다. 비대위 존속 여부는 오는 정총에서 다시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신임 회장 선출 시 신임 회장이 비대위원장을 맡기로 확정한 후 그 기간까지'라는 인수위 공문 내용도 "운영위원회는 이렇게 하기로 결정하지 않았다.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 인수위가 잘못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임 당선인이 바로 비대위원장을 맡는 것은 절차에 어긋난다. 비대위원장은 임총에서 대의원회 운영위원회가 위임받아 선출하기로 했고 김 비대위원장이 됐다"며 "임 당선인이 하고 싶다고 해서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김 비대위원장이 물러나겠다고 해서 되는 문제도 아니다"라고 했다.
앞서 임 당선인 당선 직후 열린 대의원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도 "운영위는 규정과 원칙과 정관을 준수하는데 갑자기 (비대위 운영 규정을) 바꾸는 것은 곤란하다. 현 비대위 체제로 간다고 어느 정도 의견을 모았다"고 했다.
인수위 "대의원회 운영위 아닌 비대위 회의에서 나온 말"
공문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에 인수위는 "비대위 회의 과정에서 관련 이야기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인수위 연준흠 위원장은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대의원회 운영위원회가 아니라 (의협 회장) 선거 전 비대위 회의에서 선거가 끝나면 당선자에게 자연스럽게 (비대위원장직을) 넘겨야 하지 않느냐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했다.
연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직 결정은 우리 권한이 아니다. 다만 시국이 급박한 상황에서 더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 당선인이 전면에 나서는 게 좋겠다는 뜻을 전달하고 이를 검토해달라고 대의원회에 요청한다"면서 "대의원회가 정총까지 현 체제를 유지하겠다면 인수위로서는 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했다.
연 위원장은 "(당선인과 비대위는) 가는 방향이 같다. 다만 당선인이 원하는 길로 가자는 희망을 표한 것이다. 의협 내부 분열로 봐서는 안 된다"고 했다.
관련기사
- 대통령 만남 뒤 '내부 분열' 불똥에 진화 나선 의협 "갈등 없다…오해"
- '대통령 면담'·'600명 조정설'에도 '초지일관' 의협…"원점 재논의"
- "중재 요청" 종교계 찾은 임현택 당선인, '대통령 면담'엔 말 아껴
- "논평할 게 없다"…대통령 담화에 醫 '실망'
- 임현택 "장·차관 '파면'" 발언에 醫 비대위 "차기 회장이 한 말"
- 임현택 "총파업·낙선운동·정권퇴진…대통령과 여당에 달렸다"
- '초강성' 임현택 "대통령 사과하고 장·차관 파면 후 대화"
- 政이 번복한 증원 1년 유예…전공의들도 "시간끌기 불과"
- 목포 최대집 후보 “의료제도 붕괴시킨 윤 정부 ‘심판’”
- 취임 3주 남기고 엇갈리는 차기 회장과 비대위, '단일대오'는?
- 醫 김택우 체제 그대로 간다…"비대위-집행부 각자 역할 충실해야"
- 醫 "원점 재논의" 원칙 재확인…'합동 기자회견'은 연기
- "임현택 당선인, 언론에서 공격 말고 비대위 와서 말하라"
- 비대위 면허정지에 임현택 당선인 "담당 판사는 정부의 푸들"
- "우린 하나" 의협 내부 갈등 일단락…"이제 대통령이 답하라"
- "전공의-정부 모두 한발 물러나야…협상 테이블 앉을 때"
- 의대생도, 전공의도 사라진 5월 “경험하지 못한 한국 올 것”
- MZ세대만의 반기 아니다…“임현택 집행부, 플랜 부재로 신뢰 잃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