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 내용 "예상했다"면서도 실망감 드러내
의료계 지적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원점 재논의 아닌 이상 政 발표에 관심 없을 듯"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나서 의과대학 증원 규모 2,000명에 대해 설명하고 전공의에게 복귀하라고 설득했지만 오히려 사직에 대한 결심만 굳히게 된 형국이다.
윤 대통령의 담화문에 대해 전공의들은 “예상했다”면서도 유감이라고 했다. 그동안 의료계가 문제를 지적해 왔음에도 정부가 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실망한 이들도 있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의대를 2,000명 증원하겠다는 계획을 재확인했다. 이에 의료계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에 불과하다"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논평할 게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공의들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예전과 다를 바가 없다”면서도 정부가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에 위치한 병원에서 수련했던 전공의 A씨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최악이었다. 카르텔, 독점 이런 단어가 대통령에게서 나왔다니 믿기지 않는다. 돌아갈 마음이 있었던 전공의들도 다시 돌아가지 않겠다고 할 판이다. 실제로 전공의 사이에서 반응이 매우 좋지 않다”고 말했다.
전라도에 위치한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던 B씨도 “정부가 무엇을 원하는 건지 모르겠다. 이 정도의 발언을 굳이 대국민 담화로 할 이유가 있었는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그동안 의료계가 정부의 의료 정책의 잘못된 점을 지적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한 아쉬운 소리도 나왔다.
서울권 수련병원에서 근문했던 전공의 C씨는 “대통령이 발언했다고 믿기 힘들만큼 사실과 다른 내용과 잘못된 통계 인용이 많았다”며 “‘수익이 줄어들 거라 생각해서 나갔다면 사실과 다르니 돌아오라’는 말을 듣고 현 사태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으며 논지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은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가 해결책이 될 수 없고 우리나라 의료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해왔다”며 “정부는 이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전공의들이 마치 수익을 걱정해서 사직한 것처럼 진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서울에 위치한 또 다른 병원에서 수련했던 전공의 D씨도 “대통령이 직접 담화문을 발표한다고 해 많이 기대했다. 그러나 논리적인 설명 없이 동일한 주장만 반복됐다”고 했다. 이어 “전공의를 포함한 많은 국민들이 의료 문제의 본질을 지난 한달 동안 지적했는데 막상 가장 깊은 이해를 보여야 하는 정부가 아직도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것 같아 유감”이라고 말했다.
결국 대통령까지 직접 나섰지만 사직한 전공의들의 마음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윤 대통령은 담화문 말미에 전공의를 향해 “집단행동을 하겠다면 증원을 반대하면서 할 게 아니라 제가 약속을 지키지 않을 때 하라”며 “이제 그만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돌아와 주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경상도권 수련병원에서 근무했던 E씨는 “이번 담화문으로 전공의들은 복귀하지 않을 것이다. 전혀 효과가 없다”며 “'원점 재논의'가 아닌 이상 전공의들도 정부 발표에 귀를 기울이진 않을 것 같다. 총선이 끝나고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봐야겠지만 사실상 기대감이 크진 않다”고 말했다.
정부에 강경한 태도를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올해 의대를 졸업했지만 인턴 임용을 포기한 F씨는 “정부가 계속 강경한 입장을 고집하면서 의료계와의 대립이 지속되는 것 같다. 이래서 도대체 언제 해결되나 싶다. 졸업 후 계속 쉬고 있지만 쉬는 게 아닌 듯한 기분이다. 변화가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서울 강남을 강청희 후보 “‘의료개혁’ 아닌 ‘행정폭력’ 막겠다”
- "논평할 게 없다"…대통령 담화에 醫 '실망'
- 헌혈행사 마련한 의대생들의 바람은 ‘정부의 대화 의지’
- ‘의대 年2000명 증원’ 못박은 대통령…“점진적 증원도 없다”
- 정부 정책 오히려 역효과?…필수의료 희망 의대생 대폭 감소
- "지역·필수의료 의사 원한다면 양성 기반부터 개선을" [전문]
- 새 의협 회장 당선에 젊은 의사들 "2020년 반복되지 않길"
- 소청과 사직 전공의들 "필수의료 소생할 정책 논의해 달라"
- 서울의대 교수들 "대통령, 사태 해결 의지도 능력도 안 보여"
- 보건의료노조 "尹 담화 실망…사회적 대화 자리 마련해야"
- 젊은의사 10명 중 3명 "앞으로 수련 이어갈 생각 없다"
- ‘개원의 진료과목 총량제’로 지역·필수의료 해결?
- ‘전공의‧인턴’ 돌아오지 않으면? 政 “대책 마련돼 있어”
- 대통령실 “윤 대통령, 전공의 직접 만나고 싶어한다”
- 尹 대화 제안에 전공의들 "정치쇼 아니라면, 총선 이후 만나야"
- 이재명 대표 “政, 의료공백 방치…민주당이 나선다”
- "尹 담화, 몰이해와 본질 호도뿐"…'빨간펜' 든 서울의대 교수들
- 정치권서 잇따라 '의대 2천명 증원' 尹 질타…"너무 실망"‧"비현실적"
- 尹 “저항 있어도 의료개혁 계속 추진…현장 보면 문제 없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