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책연구원, 2023년 기준 전국의사조사 결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이정찬 부연구위원(가운데)이 12일 ‘HRH(Human Resources for Health) 컨퍼런스’에서 ‘전국의사조사’ 결과를 공개했다(사진출처: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컨퍼런스 생중계 갈무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이정찬 부연구위원(가운데)이 12일 ‘HRH(Human Resources for Health) 컨퍼런스’에서 ‘전국의사조사’ 결과를 공개했다(사진출처: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컨퍼런스 생중계 갈무리).

한국 의사들이 연평균 292.6일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근무시간은 2,301시간으로 이는 한국 전체 근로자의 연평균 근로시간(1,872시간)보다 1.3배 더 긴 수치다. 특히 전공의 연평균 근무시간은 3,732시간으로 의료 직역 가운데 가장 길었다.

이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이정찬 부연구위원이 12일 의협 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열린 ‘의사인력 수급 추계에서의 새로운 쟁점’을 주제로 한 ‘HRH(Human Resources for Health) 컨퍼런스’에서 공개한 ‘전국의사조사’ 결과다.

의료정책연구원 자체 서베이 시스템을 활용해 지난 9월 2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의협 회원을 대상으로 ▲요일별 근무시간과 주요 업무별 소요 비중 ▲연간 출장일 수 ▲연간 휴무일 수 ▲주간 진료환자 수(외래·입원·수술) ▲소진(Burnout) ▲인구사회학적특성 변수 등을 조사했다.

설문조사에는 총 1,382명이 참여했으며, 봉직의가 39.1%인 54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개원의 33.1%(458명), 교수 14.5%(200명), 전공의(인턴) 9.2%(127명), 공중보건의사 0.8%(11명), 군의관 0.5%(7명)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의정 갈등 영향이 반영되지 않은 결과 값을 도출하기 위해 지난해는 조사하지 않고 2023년 기준으로 근무시간을 파악했다. 번아웃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도 실시했지만 이날 발표하진 않았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이정찬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한국 의사의 근무시간' 발표자료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이정찬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한국 의사의 근무시간' 발표자료

그 결과, 한국 의사의 연간 근무일수는 292.6일이었으며, 연간 근무시간은 2,301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당 근무일수는 주6일이 55.0%로 가장 많았고, 일주일 내내(주7일) 근무하는 의사도 16.6%에 달했다. 주5일 근무는 28.4%에 그쳤다.

특히 직역별로 살펴보면 전공의 연간 근무일수는 308.5일로 평균(292.6일) 15.9일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도 3,732시간으로 평균(2,301시간)보다 62.2% 더 컸다. 이는 한국 전체 근로자의 연간 근로시간(1,872시간) 대비 2배 더 길었다.

의사 1명당 주당 평균 진료한 외래환자 수는 234.3명으로 확인됐다. 입원환자 진료의사 1명당 주당 27.4명의 환자를 봤으며, 수술하는 의사 1명당 12.2명을 수술했다. 업무유형별 근무시간은 진료와 임상이 77.5%를 차지했으며, 행정 11.0%, 지도·교육 4.5%, 연구 4.1% 순이었다.

이 부연구위원은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해 의사 수요를 추계한다고 했을 때 근무일수와 시간에 따라 그 결과는 굉장히 달라질 수 있다”며 “의사 인력 추계 시 일반 근로자가 아닌 의사 직역 특수성이 고려된 근무일수 반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 근무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개선책이 필요하다”면서 “정확한 근무실태 및 근무시간 파악과 확보가 정확한 의료인력 추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