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아 현황 공개…“AI 활용 실시간 관리 필요”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료용 마약류오남용 의심기관 23곳을 사수의뢰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료용 마약류오남용 의심기관 23곳을 사수의뢰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의심기관 23곳을 수사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시간 관리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 자료를 분석해 26일 이같이 밝혔다.

한 의원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난 4~6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해 처방량 상위 의료기관 68곳을 점검한 결과, 이 중 23개 의료기관(의사)에서 마약류 의약품 오남용이 의심돼 공식 수사의뢰 했다.

주요 의심 약물별 수사의뢰 현황은 ▲프로포폴 사용 의심기관 37개소에서 15건(40.5%) ▲메틸페니데이트 사용 의심기관 23개소에서 5건(21.7%) ▲펜타닐패치 사용 의심기관 7개소에서 2건(28.6%) ▲디아제팜 사용 의심기관 1개소에서 1건(100%)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이 전체 의심기관의 76.5%를 차지했으며 ▲서울지역 사용 의심기관 30개소에서 10건 ▲경기지역 사용 의심기관 18개소에서 5건 ▲인천지역 사용 의심기관 4개소에서 2건이 수사의뢰 됐다.

지방에서는 부산·광주·대전·충남·경남 등 지역의 소속 병원에 대한 수사의뢰가 진행됐다.

대표 의심 사례로는 ▲적정한 사용근거 없이 특정 환자에게 프로포폴 연 13회 반복 처방 ▲디아제팜 2년간 272앰플 처방 ▲메틸페니데이트 1년간 2,352정 처방 ▲펜타닐패치 연 186매 과량 처방한 사례 등이 있었다.

한 의원은“중독성과 의존성이 높은 마약류 전문의약품은 엄격히 제한된 목적에서만 사용돼야 한다”며“일부 의사가 목적 외 처방을 하는 것은 심각한 직업윤리 위반이자 의료 신뢰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처럼 사후 선별 점검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AI 기반 실시간 처방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처방 시 경고·알람이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반복 위반 기관에는 즉각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기술과 제도 보완을 통해 의료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