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아 현황 공개…“AI 활용 실시간 관리 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의심기관 23곳을 수사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시간 관리 등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 자료를 분석해 26일 이같이 밝혔다.
한 의원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난 4~6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해 처방량 상위 의료기관 68곳을 점검한 결과, 이 중 23개 의료기관(의사)에서 마약류 의약품 오남용이 의심돼 공식 수사의뢰 했다.
주요 의심 약물별 수사의뢰 현황은 ▲프로포폴 사용 의심기관 37개소에서 15건(40.5%) ▲메틸페니데이트 사용 의심기관 23개소에서 5건(21.7%) ▲펜타닐패치 사용 의심기관 7개소에서 2건(28.6%) ▲디아제팜 사용 의심기관 1개소에서 1건(100%)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이 전체 의심기관의 76.5%를 차지했으며 ▲서울지역 사용 의심기관 30개소에서 10건 ▲경기지역 사용 의심기관 18개소에서 5건 ▲인천지역 사용 의심기관 4개소에서 2건이 수사의뢰 됐다.
지방에서는 부산·광주·대전·충남·경남 등 지역의 소속 병원에 대한 수사의뢰가 진행됐다.
대표 의심 사례로는 ▲적정한 사용근거 없이 특정 환자에게 프로포폴 연 13회 반복 처방 ▲디아제팜 2년간 272앰플 처방 ▲메틸페니데이트 1년간 2,352정 처방 ▲펜타닐패치 연 186매 과량 처방한 사례 등이 있었다.
한 의원은“중독성과 의존성이 높은 마약류 전문의약품은 엄격히 제한된 목적에서만 사용돼야 한다”며“일부 의사가 목적 외 처방을 하는 것은 심각한 직업윤리 위반이자 의료 신뢰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처럼 사후 선별 점검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AI 기반 실시간 처방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처방 시 경고·알람이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반복 위반 기관에는 즉각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기술과 제도 보완을 통해 의료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5년간 약물중독 1110명 사망… “처방·복용 관리 강화해야”
- 최근 3년 ‘마약·향정신성 의약품’ 비대면 처방 ‘1만건’↑
- 식약처, 오남용 우려 ‘에토미데이트’ 마약류 지정
- ADHD 치료제로 마약 중독 주장에 학회들 “과학적 근거 없다"
- '프로포폴 무제한 투약' 의사 징역형에 醫 "지극히 타당한 판결"
- "지금이 마약으로부터 국민을 지킬 골든타임"
- 프로포폴 중독자 '양산'한 의사…징역 4년에 추징금 41억
- 마약 개발 우회통로 ‘마약 검사키트’, 식약처서 관리하나
- 프로포폴 오남용 의심 처방 의사 1만명 넘어
- ‘ADHD 치료제’ 6명에 5년간 약 20만정 처방…“관리 구멍 심각”
- 신종 마약 대응 속도 UP…임시마약류 지정절차 간소화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