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2010~2019년 고혈압‧폐렴 입원환자’ 분석
“병원급 이하 의료기관, 입원치료 비효율 확인”
고혈압과 폐렴 입원환자의 입원기간이 입원한 병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급 이하 의료기관에서 기관 간 입원기간 차이가 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고혈압과 폐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입원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해당 기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기간은 38.1일에서 7.0일로 31.1일,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로 4.4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공단은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기간은 크게 감소했으나,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고혈압을 주된 원인으로 입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공단은 고혈압, 폐렴 환자의 입원기간 차이가 나는 원인 중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폐렴은 2010년 21.0%에서 2019년 9.6%로 감소했으나 고혈압은 2010년 25.7%에서 2019년 31.3%로 증가했다.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이란 동일 질병을 가진 환자가 의료기관에 따라 입원기간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로,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이 ‘0%’라면 어느 병원을 가더라도 입원기간이 동일하고 ‘100%’라면 병원에 따라 입원기간이 모두 다르다는 의미다.
즉, 폐렴은 의료기관 차이가 입원기간에 주는 영향이 줄어든 반면 고혈압은 증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과 병원급 이하로 구분하면 2019년 기준 입원기간의 의료기관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은 종합병원급 이상 19.6%, 병원급 이하 51.8%, 폐렴은 각각 6.5%, 26.0%로 나타났다.
이는 고혈압, 폐렴 모두 종합병원급 이상에 비해 병원급 이하에서는 ‘어느 의료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더 크게 달라진다’는 의미며, 이 결과는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치료에 비효율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공단은 “의료기관에 따른 입원기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혈압과 폐렴의 적정 진료에 대한 임상적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