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기관 11개 중 10개 기관 신청…총 260여억원 보상 예상

정부가 추진 중인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사후보상사업에 총 10개 기관이 신청했다. 총 260여억원 보상이 예상된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정부가 추진 중인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사후보상사업에 총 10개 기관이 신청했다. 총 260여억원 보상이 예상된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정부가 추진 중인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사후보상사업에 총 10개 기관이 신청했다. 총 260여억원 보상이 예상된다.

보건복지부는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사후보상’ 참여기관을 이달 12일부터 26일까지 모집한 결과, 총 10개 기관이 신청했다고 27일 밝혔다.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사후보상은 관련 진료 인프라를 강화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진료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의료적 손실을 보상하는 사업이다.

신청대상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지정‧운영기관 중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사후보상 시범사업 참여기관이거나 사후보상 모형개발에 협조한 기관 11개소다.

복지부에 따르면 11개 대상기관 중 내부사정으로 참여를 안한 1개소를 제외한 10곳이 모두 신청했다.

이번 사후보상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손실분을 보상하며 평가를 거쳐 최종 참여기관을 선정하게 된다. 원칙적으로 평가 후 보상을 받지 못할 수도 있지만, 복지부는 10개 기관 모두 보상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원 규모는 손실보상 개념이기 때문에 추계가 쉽지 않지만 지원기관에서 제출한 자료 등을 고려했을 때 260억원 가량될 예정이며, 건강보험재정을 통해 지원된다.

평가는 지난해 동안 산과 전문의, 고위험임산부 집중치료실 간호인력 등 필수인력을 확보하고, 고위험 산모 또는 중증 신생아를 진료한 실적 등 의료성과를 중심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복지부는 이번 사후보상을 진행하면서 사업 보완점 및 현장 애로사항 등을 살펴 오는 2026년부터 전체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대상 사후보상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 이중규 국장은 “이번 사후보상은 필수의료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한 조치로 의료기관이 필수의료에 대한 투자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정적 운영을 돕고 고위험 산모‧신생아는 강화된 인프라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후보상이 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 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