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수료식 및 간담회’ 개최
정부가 올해 의사과학자 80명 양성을 위해 867억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나인트리 로카우스 호텔에서 ‘2025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수료식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의사과학자(MD-Ph.D)는 임상 현장 수요를 기술 개발로 연결시켜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견인하고 국민 건강 증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핵심인력으로, 복지부는 지난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지원해 현재까지 총 68명의 의사과학자를 배출했다.
올해 수료식에서는 전일제(Full-time) 박사학위 과정을 통해 기초의학, 공학 등 학위과정을 거치며 연구역량을 갖춘 의사과학자 28명에게 수료증을 전달했다.
배출된 의사과학자들은 서울대‧하버드대 등 국내‧외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거나,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연구를 병행, 또는 개인 창업을 통해 각자의 진로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의사과학자 배출 수준을 연간 의대 졸업생의 1.6%에서 선진국 수준인 3%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학부부터 석‧박사, 박사 후 연구 성장지원 ▲글로벌 공동연구지원 등 보건의료분야 특화 융‧복합 혁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이에 따라 올해 의사과학자 양성에 총 867억원을 투입해 학부 3개소 및 대학원 5개 컨소시엄과 석‧박사 신규 80여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박사학위를 취득한 의사과학자가 독립적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신진, 심화, 리더 등의 단계로 나눠 총 92명을 지원하고, 의사과학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31개 과제를 선발할 예정이다.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정은영 국장은 “의사과학자는 임상 현장을 통해 맞닥뜨린 문제를 연구실에서 탐구하고 연구실에서 밝혀낸 과학적 발견을 다시 환자들에게 돌려줄 수 있는 의학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융합 인재”라고 강조했다.
이어 “의사과학자는 국민들의 건강 증진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필수적 요소”라며 “의사과학자가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지난해 바이오헬스 인재 ‘4만4000여명’ 양성
- 의사과학자 왜 부족하냐고? "연구하기도 힘든 현실"…특별법 요구도
- 노벨생리의학상, 한국에서도 가능할까?
- 국가 첨단전략기술 인정받은 오가노이드 치료, 의료 현장 진입은?
- 정부, '융합형 의과학자' 양성…"6년 새 39명 배출"
- 서울·연세의대 등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기관 선정
- 진흥원, 제약바이오 연구·생산제조 인력개발 세미나 개최
- "미국은 의대 졸업생 3%가 의사과학자로"…한국은?
- 의사과학자 꿈꾸던 전공의 88% 중도 포기…“尹정부, 싹 잘라버려”
- ‘한의사과학자’ 탄생할까…政, 한의사 연구자 양성 별도 트랙 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