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단국대 연구팀, 한약 ‘약물 유발 간손상’ 미치는 영향 분석
환자 67만명 심평원 청구데이터 분석…“한약, 간손상 상대 위험도↓”

대한한의사협회가 한의 의료기관에서 처방된 한약이 '약물 유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고 "한약은 간에 나쁘다는 의료계 주장은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대한한의사협회가 한의 의료기관에서 처방된 한약이 '약물 유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고 "한약은 간에 나쁘다는 의료계 주장은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한의계가 한의원이나 한방병원 등에서 처방한 한약이 병·의원에서 처방 받은 의약품에 비해 간손상 발생 위험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를 근거로 “‘한약은 간에 나쁘다’는 의료계 주장은 악의적인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원성호 교수팀과 단국대 바이오컨버전스공학과 이상헌 교수가 지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환자 67만2,411명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데이터를 이용해 한의 의료기관 처방 한약이 ‘약물 유발 간손상(Drug Induced Liver Injury, DIL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연구진은 한의 의료기관에 내원했거나 한약 처방을 받은 후 90일 이내 약물 유발 간손상 발생 위험은 증가하지 않았다고 했다. 외래 환자군에서도 위험도가 1.01(95% 신뢰구간:1.00~1.01)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고 했다.

반면 병·의원에 내원했거나 약 처방을 받은 환자군의 경우 방문 3~15일 후 이내 약물 유발 간손상 발생 상대 위험도가 각각 1.55, 2.4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한의협은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한약은 간에 나쁘다며 국민을 호도하던 일부 의료계 주장이 전혀 근거 없는 악의적인 거짓말이라는 것을 명명백백히 밝혀 준 값진 결과”라고 말했다.

한의협은 “한약이 간에 안전하고 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사실이 입증된 만큼 한약을 폄훼하고 비방해 오던 세력들은 즉각 잘못된 행동을 멈추고 한의계에 진솔한 사과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Pharmacology’ 1월호에 ‘Exploring the Association Between Herbal Medicine Usage and Drug-Induced Liver Injury: Insights from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Using SCCS in South Korea’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