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개특위 의료인력전문위서 논의

정부가 의료인력 관련 의료개혁을 위해 직종 간 협력을 강화한 '팀 기반' 인력 운용을 추진한다(ⓒ청년의사). 
정부가 의료인력 관련 의료개혁을 위해 직종 간 협력을 강화한 '팀 기반' 인력 운용을 추진한다(ⓒ청년의사).

정부가 의료인력 관련 의료개혁을 위해 직종 간 협력을 강화한 ‘팀 기반’ 인력 운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공유‧협력이 필요한 질환‧영역을 도출하고 의사와 타 직역 간 업무범위에 대한 논의도 진행된다.

정부는 최근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인력 전문위원회’를 개최해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협력 기반 의료인력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의료기관 간 인력 공유‧협력 운영방안과 함께 의료기관 내에서의 팀 기반 인력 운영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기관 간 인력 공유‧협력 운영방안’에서는 지난 회의에 이어 지역 완결적 의료를 위해 인력 공유‧협력이 필요한 질환‧영역 등을 도출하고 인력의 원활한 기관 간 협력을 가능케 하기 위한 요건 등을 검토했다.

또 ‘다직종 간 협업 유도를 위한 팀제 지원 방안’에서는 질 높은 의료에 대한 수요, 분업체계를 통한 업무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한 정책이 논의됐다. 다양한 직종 간 전문성을 바탕으로 종합적 의료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의료기관 내에서 다양한 직종 간 협업 필요성, 팀별 운영의 장점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와 함께 해외사례도 검토했다. 이를 통해 다직종 간 협력 기반 팀제 운영을 위한 법체계상 의사와 타직역 간 업무 범위, 진료지원인력의 역할 및 협력에 따른 지원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의개특위 노연홍 위원장은 “지금까지 의료기관 인력 운영은 진료량 확장 및 무한 경쟁체제에 초점을 맞춰 운영된 측면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을 통해 중증‧응급 중심의 진료환경을 구축하려는 지금 의료기관 간, 의료기관 내 인력 협력 방안을 적극 검토해 인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