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LT2 억제제가 티아졸리딘디온보다 더 효과적”
성균관대 약학과 신주영 교수 연구팀(공동1저자 배성호 박사, 고화연 박사과정)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 환자에서 SGLT2 억제제의 효과를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 및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와 비교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40세 이상 MASLD 환자들의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처방 기록을 분석한 결과로, 의학 분야 권위 학술지 Gut(IF:23.0, JCI 상위 2.4%)에 9월 6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MASLD는 지방간과 관련된 대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60%가 앓고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우며, 병이 진행되면 간경변과 간부전 등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그러나 MASLD 환자에서 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혈당강하제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SGLT2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그리고 티아졸리딘디온 계열 세 가지 혈당강하제를 비교한 결과,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는 간 질환 예방 효과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SGLT2 억제제는 티아졸리딘디온보다 간 질환 발생 위험을 23% 낮추는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여성과 65세 미만 환자에서 그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신주영 교수는 이번 연구가 MASLD 환자의 간 질환 예방을 위한 적합한 혈당강하제 선택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했다고 설명하며, SGLT2 억제제가 티아졸리딘디온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GLP-1 수용체 작용제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배재현 교수, 조영민 교수, 강북삼성병원 장유수 교수, 류승호 교수, 그리고 영국 사우스햄튼대학(University of Southampton) 크러스토퍼 번 (Christopher Byrne) 교수와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전수자료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