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언에 강한 유감 표한 응급의학회
“응급의학과 전문의 이탈 가속화될 것”
응급 의료체계 붕괴를 단순히 ‘전공의 사직’ 여파로만 바라보는 정부에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분노하고 있다. 더욱이 잇단 응급실 운영 중단 사태 해결을 위해 “다른 전문 과목 인력 활용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발언에 강한 유감을 표했다.
대한응급의학회는 지난 18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이 한 발언을 두고 “참으로 답답하고 황당하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김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공의가 빠져나가 응급의료센터 교수들의 피로도가 높고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응급의료센터 상황을 살피고 있고 응급의학과 외에 다른 전문 과목 인력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이에 응급의학회는 “24시간 응급 의료 제공 중단이 발생한 속초의료원, 순천향대천안병원에서는 다른 전문 과목 인력 활용을 생각하지 못했겠나”라며 “해당 병원 다른 전문 과목 전문의가 응급환자 휴일·야간 24시간 진료하면 해당 전문 과목 외래, 입원, 수술 환자는 누가 진료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응급의학회는 전공의 1년차 시절 대동맥 박리를 진단하지 못해 유죄를 선고 받은 전공의 사례를 들어 “엄청난 보상이 있는 것도 아닌데 우리 의료 현실에서 수시로 벌어지는 민·형사상 부담을 안고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아닌 다른 전문 과목 전문의가 응급실 진료를 하려고 하겠느냐”며 “응급 의료를 너무도 쉽게 생각한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다른 전문 과목 전문의가 해당 분야 전문성은 당연히 높지만 응급실로 몰려오는 온갖 다양한 응급·비응급 환자들을 빠른 시간에 진료하고 응급처치 하는데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갖고 있는 전문성을 갖고 있지는 못하다”며 “자신의 전문 과목 진료 대상인 환자는 진료하겠지만 그렇지 못한 환자 대처는 어렵다”고 했다.
이어 “응급의학과 외에 다른 전문 과목 인력도 활용하는 방안”이라는 발언이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직업적 자존심과 사명감에 큰 상처를 줬다고도 했다.
응급의학회는 “응급실에서 24시간 야간과 주말, 휴일에 응급환자와 가족들 곁을 지키고 있던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직업적 자존심과 사명감에 큰 상처를 주고 가슴에 대못을 박았다”며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이탈을 막기는커녕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응급의학회는 응급의료 현장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과 지원을 촉구했다.
이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가 응급 의료체계는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며 “현재 응급 의료 현장을 지켜내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응급실 운영 중단 사태에 응급의학회 "최전선 무너지게 둘 건가"
- “환자 살리지 못한 게지 죽인 게 아냐” 사법 부담 호소하는 의사들
- "전공의 정원 못 받는 수련병원 생긴다…공동 수련 必"
- "펠로우 강제하는 '폰지 사기'식 수련…이러니 전공의 병원 떠나"
- "의료사고처리특례법 또 다른 분쟁 불러올 것"
- “응급의학과서 속죄” 성범죄 의대생 발언에 의사들 “모욕적”
- 정상적 전원까지 ‘응급실 뺑뺑이’로 낙인…응급의학회 “안타까워”
- "환자 못 살린 내 탓" 자책하게 하는 무조건적 '응급실 뺑뺑이' 낙인
- 고려의대 교수들 "전공의들에게 미안…돌아올 자리 지키겠다"
- 중부권 응급의료체계 ‘휘청’…단국대병원 응급실도 '비상'
- 혈우병, 중증도 따른 치료보다 '개인맞춤형치료' 필요
- ‘준법 투쟁’ 나서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들 “이대로는 폐과”
- ‘응급의료 붕괴’ 대응 방안 찾는 개혁신당
- 성균관의대 교수들 “사태 해결? 2월 이전으로 되돌리면 가능”
- '철장에 갇힌 의새' 응급의학醫 학술대회 포스터의 의미
- 응급의학회 “政 응급의료대책 긍정적이지만 만시지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