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의들 "더 이상 의업 이어가기 어렵다" 입장 발표
"의료 정책 제언 모두 묵살돼…탄압 중단하고 소통을"
강경한 정부 태도에 전공의에 이어 전임의(임상강사)까지 병원을 떠날 가능성이 커졌다.
전국 82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전임의와 예비 전임의라고 밝힌 이들은 20일 입장문을 내고 "의료인에 대한 협박과 탄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지금으로서는 더 이상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의과대학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 정부 정책이 "대한민국 보건 현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그 뒤에는 "필수의료 분야 저수가와 비정상적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 기준에 맞춘 진료 환경은 물론 고령화와 저출산"이 존재하지만 "단순히 의대 정원 증원 문제로 치부되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한 후 수련병원에 남아 더 나은 임상의이자 연구자로서 소양을 쌓고자 했다"며 "그러나 의료 정책에 대한 진심 어린 제언은 모두 묵살되고 의사가 국민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매도되는 상황에서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했다.
정부가 의료계와 소통 없이 "장기적인 의료 문제를 야기할 잘못된 정책을 강행하고 의료 혼란과 공백을 초래했다"면서 "지속 가능한 보건 정책을 위해서 의사들과 진정한 소통을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의대생 1133명 휴학 신청…동맹휴학·수업거부 확산 조짐
- 박민수 차관 “전공의들, 정부 명령 회피법 공부할 때 아니다”
- "전공의 대신 입원환자 진료 전문의에 추가 보상하겠다"
- 政 "전공의 6415명 사직서 제출…1630명 근무지 이탈"
- ‘전공의 떠난’ 응급실 긴장감↑…政 대응에 분노하는 의사들
- 전공의 집단사직에 정치권도 우려…여야 “대화로 풀자”
- '환자 살아나는 기적' 행복하다는 흉부외과 전공의의 사직 이유
- 강경한 의료계에 與도 "불법 파업, 구제도 선처도 없어" 재경고
- "엄마 이전에 의사로 살았는데…" 꿈 내려 놓은 소청과 전공의
- 政 "업무개시명령 위반 시 ‘사후 구제‧선처’ 절대 없다"
- 전공의 집단사직 현실화에 공권력 투입?…길병원에 경찰 출동
- 전공의 없는 병원들…진료 축소에 입원환자 퇴원도 빨라져
- 의대협 "의사 날림 배출하려는 정부, 군사독재정권 연상"
- 대전협 비대위 "의대 증원 백지화하고 업무개시명령 철회하라"
- 첫 TV토론서도 평행선 달린 醫·政…“절대 수 부족” vs “배분 문제”
- 이재명 대표 "尹, 의‧정 대치 심화시켜…절충안 마련해야"
- 전공의 8816명 사직서 제출…의대생 7620명 휴학 신청
- "개별 사직서인데" 거세지는 정부 압박…전공의 법률 자문 늘어
- 政, 사직 전공의 출국 제한 조치…개인사유 사직도
- 노동시민사회 "명분없는 의료계 단체행동 즉각 중단하라"
- ‘PA 간호사’ 전공의 진료공백 채울까…긴장감 도는 간호현장
- "떠난 제자들…3월 병원 의사 30% 사라져"…외과 교수의 호소
- ‘펠로우 엑소더스’ 현실화 되나…“그땐 진짜 의료붕괴”
- 전공의 복귀 '디데이' 앞둔 병원들…원장이 "돌아오라" 호소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