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외과醫 “의대생·전공의들과 발맞춰 함께 행동”
경기도醫 “의료 문제 총선용 이벤트로 삼는 정권”

의사회들은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을 일방적으로 발표하면 단체행동에 나서겠다고 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17일 오후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열린 전국의사총궐기대회 모습(ⓒ청년의사).
의사회들은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을 일방적으로 발표하면 단체행동에 나서겠다고 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17일 오후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열린 전국의사총궐기대회 모습(ⓒ청년의사).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을 포함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강행하면 단체행동에 나서겠다는 의사회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대한성형외과의사회는 6일 성명을 내고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에 반대한다며 “이를 강행할 경우 의대생, 전공의들과 발을 맞춰 최대한 협조하고 함께 행동하겠다”고 했다.

성형외과의사회는 “이번 정책이 준비 안 된 정책인지는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예산 10조원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어디에 얼마만큼 집행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며 “정책 패키지 의도가 불순하다고 여겨지는 부분은 필수의료를 살리겠다는 명분으로 비필수의료 영역에 대한 새로운 관리체계를 언급했다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 비필수의료 부분을 파탄 내려는 의도가 보이는 준비 안 된 정부의 정책 패키지는 총체적으로 믿을 수 없는 불신 패키지일 뿐”이라고 했다.

성형외과의사회는 “필수의료에 해당하는 전문 진료과목 전문의들이 다시 의료현장으로 돌아오게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고 즉각적인 해결책이다. 그러기 위해 그들이 왜 자신의 젊음을 바치면서 수련받은 진료과목을 떠나야만 했는지 온전한 평가가 선행되는 게 필수”라며 “의료계 평가와 제안을 100% 무시한 정책을 제시했다는 사실은 정부가 필수의료를 살리겠다는 명분을 이용해 선거를 앞두고 의대 증원이라는 민심 달래기용 정책을 펴기 위함일 뿐이라는 방증”이라고도 했다.

경기도의사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국민 건강과 직결된 백년지대계인 의료 문제를 총선용 이벤트로 삼는 정권의 무책임함에 심각한 분노를 느낀다”며 “지금 이대로라면 의료계는 지난 20여년 전 의약분업 당시보다 더 크고 절박한 투쟁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경기도의사회는 매주 수요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하는 ‘반차 휴진 투쟁’을 전면 투쟁 전환점으로 삼자고도 했다. 그러면서 “만약 의료계 총파업 투쟁으로 국민 생명에 피해가 발생한다면 그 책임을 오롯이 윤석열 대통령이 져야 한다”고 했다.

미래의료포럼 주수호 대표는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에 임시대의원총회 개최를 촉구하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의협을 비상 투쟁 체제로 전환하라”고 했다. 제42대 의협 회장 선거에 출마하는 주 대표는 “지금 차기 의협 회장 선거를 앞두고 머뭇거릴 때가 아니라 전 회원들의 투쟁으로 문제를 극복해야 할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이라며 “오직 투쟁의 승리만을 위해 의료계 지도자들과 모든 회원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