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태 의학회장, KAMC 행사에서 의학계 태도 지적
"투쟁 없이 의권 얻기 어려워…의협 스탠스 지지를"
필수의료 문제와 의과대학 정원 증원 문제를 다루는 의학계 태도를 두고 내부 비판이 나왔다. 필요하면 '투쟁'도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의학회 정지태 회장(고려의대)은 17일 '필수의료인력 양성에서 의과대학의 역할'을 주제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Annual Meeting에서 필수의료와 의대 정원 문제에 교수들이 더 적극적인 행동을 취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회장은 "최근 만난 한 정치인이 의료계가 의사 증원에 반대하는 이유는 이해하지만 '권리 위에서 잠자는 이들에게 국가는 아무것도 해주지 않는다'며 (의료 현안 해결을 위한) 국가 예산 투입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고 했다.
정 회장은 "대한의사협회가 (투쟁하겠다며) 머리띠 두르고 나가면 교수들은 이를 혐오스럽게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평화는 전쟁으로 지켰고 민주화는 투쟁으로 얻었다. 투쟁하지 않고 우리 의권을 얻어낼 가능성은 점점 희박해지고 있다"면서 "의대 교수들이 의협의 스탠스를 지지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의협 이필수 회장도 필수의료와 의대 정원 문제를 풀기 위한 지지를 호소했다.
이 회장은 "의대 정원 문제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우리 제자인 전공의와 학생의 미래가 결정된다. 제자에게 자랑스러운 스승이 될 수 있도록 보다 큰 관점에서 의협과 함께해달라"면서 "의협에 힘을 모으고 어려운 난국을 함께 풀어가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다만 "의대 정원 증원은 일방적인 정책 진행이 아닌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와 합의로 풀어가야 한다"며 정부와 협의에 무게를 뒀다.
이 회장은 "의료현안협의체에서 필수의료 문제와 의대 정원 문제를 논의한다. 의협은 원점부터 시작해 합리적으로 이 문제를 하나하나 풀어가겠다"며 "보건의료 패러다임과 국민 의식 수준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의협은 무조건 반대보다는 국민과 충분히 소통하고 설득하고 전문가단체답게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학교육협의회 “의대 정원, 수요조사로만 결정해선 안 돼”
- "강도 높은 투쟁"vs"직역 이기주의"…불꽃 튄 의료현안협의체
- 하루 줄 테니 6년치 전공의 수요 제출하라? 학회들 ‘보이콧’
- 수도권에도 부는 ‘의대 신설’ 바람…‘한경국립의대법’도 나왔다
- 왜 의대 정원 수요조사 발표 취소?…政, “의사 눈치 보기 아냐”
- 의사 늘리면 문제 해결된다는 ‘환상’…“이대로면 의료붕괴”
- 정부, 의대 증원 “시대적 흐름”…“적정 근무, 적정 보상” 강조
- 의대 증원 규모 수정하는 대학들…政 "정해진 숫자 없다"
- “정치권, 내년 총선 표 의식해 의대 정원 확대 추진”
- "부동산 투기하듯 의대 증원하나"…의협, 총파업 시사
- 거꾸로 가는 의대 정원 논의…"의미 없는 숫자 나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