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와 소통·협의 강조…합리적 정원 조정 시스템 마련 촉구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수요조사 결과를 앞두고 의학계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번 수요조사 결과만으로 의대 총 정원을 결정해서는 안 되며 의료계와 소통과 협의가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학교육협의회는 지난 15일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수요조사 결과는 의대별 교육역량과 향후 시설·인력 투자 등을 통해 수용 가능하겠다고 자체 판단한 대학의 최대 학생 수 규모이기 때문에 이번 결과로 의대 정원을 결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의학교육협의회는 “의료 현장의 수요, 의료 환경의 변화를 감안해 단계적으로 의대 정원 규모를 결정해야 하며 향후 정원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협의회는 구체적으로 ▲의대 수용 역량과 입시 변동 등을 고려한 단계적인 증원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교수 확보 등 법정 기준 고려한 배정과 교육 여건 지속 관리 ▲과학적 인력수요 전망과 합리적 정원 조정 시스템 마련 등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16일 예정된 ‘의사인력 증원 관련 토론회’에 의료계 참여가 배제되는 상황에 유감을 표했다. 해당 토론회는 국회 입법조사처와 보건복지위원회 신동근 위원장이 공동 주최한다.
협의회는 “국회에서 열리는 의사인력 증원 관련 토론회에 의료계 참여가 배제되는 상황에 유감을 표하고 공정한 토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의료계 의견을 대표하는 토론자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학교육협의회는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의료 발전에 기여하고자 대한병원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등 의료계 12개 단체가 참여하는 협의체다.
관련기사
- 하루 줄 테니 6년치 전공의 수요 제출하라? 학회들 ‘보이콧’
- 왜 의대 정원 수요조사 발표 취소?…政, “의사 눈치 보기 아냐”
- 복지부 종합병원 '긴급' 의사인력 수요조사, 왜?
- 대학이 원하는 의대 정원 합산하면 끝? “과학·객관적이어야”
- 지역 의대 신설 가능성에 ‘유치전’ 뛰어든 대학 더 늘어
- 전국 의대 학장들 “정원 증가, 교육 질 저하 초래”
- 정부, 기존 의대 정원부터 늘린다…수요 조사 시작
- 수도권에도 부는 ‘의대 신설’ 바람…‘한경국립의대법’도 나왔다
- 의대 정원 어떻게 배분해야 하나…“대학 아닌 지역 중심 확대”
- 의학회장 "교수들, 의대 정원 문제 풀려면 '투쟁' 혐오 말아야"
- 복지부, 21일 의대 정원 수요조사 결과 발표
- "부동산 투기하듯 의대 증원하나"…의협, 총파업 시사
- 거꾸로 가는 의대 정원 논의…"의미 없는 숫자 나열"
- "당장 내일부터 투쟁…의대 정원 의료계와 협의하라"
- 의대서 이러닝 활용 교수 절반에 그쳐…"제도적 지원 必"
- 의대생 2000명 증원 후 의학교육에서 벌어질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