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전망치 전년 대비 20% 이상으로 상향 조정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3조6,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자신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일 공시를 통해 2023년 연간 매출 가이던스(전망치)를 기존 15~20%에서 20% 이상으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23년 매출액 전망치는 3조 5,265억원에서 3조 6,016억원으로 751억원이 늘어났다.
이번 가이던스 상향은 지난 4월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년 대비 2023년 매출액 예상 상승률을 지난 1월 10~15%(3조 3,765억원)에서 15~20%(3조 5,265억원) 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가이던스 상향 이유로 4공장의 성공적인 가동률 상승에 따른 매출 증가를 꼽았다. 빅파마의 대형 위탁생산(CMO) 계약을 중심으로 4공장 가동률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상승하면서 매출 전망치가 올라갔다는 설명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4공장 매출은 3분기 실적부터 본격 반영될 예정이다. 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공장이 풀가동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공정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고품질의 바이오의약품을 더 빠른 속도로 생산하게 돼, 매출 기여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첫 계약 이후 빅파마들 모두 계약 제품을 확대하거나 기존 계약된 물량의 생산 규모를 확대하는 등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노바티스의 경우, 지난해 6월 1,000억원 규모의 의향서(LOI)를 체결한 이후 1년여 만인 올해 7월 생산 규모를 약 5배(5,110억원)로 키워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밖에도 GSK, 일라이릴리, 로슈, 화이자, 노바티스 등 9월 현재까지 총8건의 증액 계약이 공시됐다. 계약 규모는 총 9,862억원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뉴스위크와 데이터 조사 기업 스태티스타(Statista)가 발표한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기업' 명단에서 헬스케어 & 생명과학 분야 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 세계 21개국 23개 분야에 분포된 1,00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약 7만 여명의 소비자, 투자자, 임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해 순위를 선정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헬스케어와 생명과학 분야 선정 기업 중 위탁생산개발(CDMO) 기업으로는 자사가 유일하며, 글로벌 주요 빅파마들보다 높은 신뢰도를 기록했다”며 “생명과 직결된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기업의 신뢰도는 비즈니스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다. 자사는 12년이라는 짧은 시간에도 국제무대에서 높은 신뢰를 구축하며 글로벌 리딩 CDMO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삼성바이오로직스-BMS, 면역항암제 위탁생산 물량 증액
- 삼성바이오로직스, BMS 면역항암제 생산한다…3213억 규모
- 삼바, 화이자와 1조2천억 위탁생산 계약 체결
- 삼성바이오로직스 “올해 매출 전년比 15~20% 증가 전망”
- 삼성바이오로직스,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참가
- 식약처에 쏟아진 규제개선 요청…“산업 경쟁력 후퇴 않게 해달라”
- 국가전략기술 ‘바이오의약품’ 포함 요구 나선 삼성바이오로직스
- 韓업체에 CDMO 맡기던 CGT 개발사가 돌아서는 이유는?
- 삼성바이오로직스, 지속가능경영유공 정부포상 대통령상 수상
- 삼성, 바이오 플랫폼 기술 업체 발굴에 팔걷어
- 신약개발 실패 여파…CMO계약 조기종료한 삼바로직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