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과 전략적 협력 MOU
삼성물산과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3사가 설립한 라이프사이언스 2호 펀드(SVIC 64호 신기술투자조합)를 통해 미국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과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삼성물산과 바이오 자회사들은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과 함께 ▲바이오 분야 AI ▲기초과학 연구를 실제 사용할 수 있게 연계하는 중개의학 연구 ▲바이오 의약품 개발 플랫폼 관련 최첨단 기술 ▲고품질 임상 실험 인프라 등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또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 산하 다양한 혁신 스타트업 벤처기업들과 교류도 시작할 계획이다.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은 mRNA 코로나백신 개발사로 잘 알려진 모더나를 초기 설립 때부터 기획 육성해온 기업이다. 2000년 설립 이후 누적 운용자산이 약 19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탑 3 벤처캐피탈사로 165개 업체에 투자해 100개가 넘는 회사들을 창업했고, 데날리(Denali), 포그혼(Foghorn) 등 30개 업체를 상장시켰다.
삼성물산, 바이오 자회사들은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과 2021년 10월부터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등 국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협력해왔다. 또 삼성 라이프사이언스 1호 펀드는 2022년 8월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 산하 센다 바이오사이언스 (Senda Biosciences)로 1,500만 달러를 투자하며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삼성물산 라이프사이언스 사업 담당 김재우 부사장은 “이번 MOU 체결은 두 회사 간 협력의 중요한 진전”이라면서 “플래그십 산하 바이오 업체들의 기술이 시장에 보다 빠르게 선보이는데 삼성의 바이오 전문성과 상업화 경험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세상을 바꾸는 미래 바이오 기술 기업에 대한 초기 투자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물산과 바이오 자회사들은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 등 글로벌 벤처캐피탈사와 협력을 통해 국내외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신사업 발굴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 삼성바이오로직스, 올해 매출 3.6조 돌파 전망
- 삼성바이오로직스, BMS 면역항암제 생산한다…3213억 규모
-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행정처분 받은 삼바에피스, 왜?
- 삼바에피스,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상호교환성 美 허가 절차 돌입
- 역대 최고 실적 기록한 삼바, "5공장·ADC 진출 등으로 성장 지속"
- 신약개발 실패 여파…CMO계약 조기종료한 삼바로직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레고켐바이오와 ADC 치료제 개발
- 삼성바이오로직스, UCB와 올해 첫 계약 체결
-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 美브릭바이오 투자
- 삼성, 美라투스바이오 투자…AAV 유전자치료제 정조준
- 삼성, AI 신약개발社 '제너레이트 바이오메디슨'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