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 백일해’ 기반 혼합백신 국내 1상 첫 시험자 등록
“2천억 규모 R&D 투자로 필수접종백신 공급 안정화”
LG화학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영아용 혼합백신의 국산화에 나섰다.
LG화학은 최근 ‘정제 백일해(acellular Pertussis, aP)’ 기반 6가 혼합백신 ‘APV006’ 국내 1상 임상시험에 첫 시험자가 등록됐다고 지난 1일 밝혔다.
APV006은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소아마비, 뇌수막염, B형간염 등 6개 감염질환을 예방하는 백신으로,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5가(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소아마비, 뇌수막염) 백신 대비 접종 횟수를 2회 줄일 수 있다.
LG화학은 서울대병원에서 건강한 성인 42명을 대상으로 APV006과 기존 6가 혼합백신 간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비교 평가할 예정이다.
LG화학은 해외 제조사의 국가별 공급전략, 품질이슈 등이 국내 백신 수급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고객이 선호하는 혼합백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안정적인 국내 공급망 역할을 하기 위함이라고 APV006 개발 배경을 밝혔다.
지난 2021년, 2022년 예상치 못한 해외 제조사들의 일시적인 공급 중단으로 인해 국내 영아 예방접종 대란이 현실화된 바 있으며, 단일백신을 다회 접종해야 했던 많은 보호자들이 고통과 불편함을 호소했다는 설명이다.
LG화학은 현재 무료로 접종 받는 국가필수 예방접종 사업(NIP)에는 4가, 5가 혼합백신이 포함되어 있으며, 2021년부터 국내 공급이 시작된 6가 혼합백신도 추후 국가사업 도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봤다.
특히 현재 6가 혼합백신 공급사는 단 한 곳에 불과해 중장기 수요 대응을 위한 추가 공급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게 LG화학 설명이다.
LG화학은 APV006 임상개발 및 시설 구축에 2,000억원 이상을 투자, 2030년 내 국내 상용화할 계획이다.
손지웅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수급난 우려 속에서 6개 백신의 모든 원액 제조기술을 내재화해 우리 아이들이 안정적으로 필수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는 개발 과제”라며 “적기 투자를 통해 국내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진출 국가를 지속 확대해 전세계 감염질환 예방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국제기구 조달시장 진입을 목표로 전세포 백일해(whole cell pertussis, wP) 기반 6가 혼합백신 ‘LBVD’ 2상도 진행하고 있다.
백일해는 백일해균 전체를 적용한 ‘전세포 백일해(wP)’ 항원과 이의 안전성을 추가 개선하기 위해 백일해균의 특정 항원만을 적용한 ‘정제(aP) 백일해’ 항원으로 나뉜다. 저개발국에 백신을 보급하는 국제기구 외에 대부분의 개별 국가는 정제 백일해 항원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LG화학은 6가 혼합백신 사업의 이원화 전략을 통해 전 세계 공중보건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관련기사
- 'LG화학 미래의학자상'에 김준호·박세훈·양지명·이승헌·한상원
- 바이오팜 품은 ‘삼양’, DDS 플랫폼 기술로 제약사 면모 되찾을까
- LG화학, 유니세프와 2600억대 필수백신 공급계약
- 유럽 통풍치료제 개발 지연에 숨고르는 LG화학
- LG화학,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韓 허가 신청…파트너사는?
- LG화학, 中이노벤트에 통풍 치료제 후보물질 기술수출
- LG화학, 당뇨병 복합제 ‘제미다파’ 처방 폭 넓힌다
- LG화학, 리센스메디컬과 손잡고 급속냉각치료기기 확보
- LG화학, 아베오파마슈티컬스 인수…美 항암제 시장 진출 ‘박차’
- CDMO 아닌 '신약개발'…LG그룹, 바이오사업 박차
- 경남 지역 백일해 환자 ‘속출’…의사회 “방역 조치 없다” 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