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醫 "의사결정 과정 공개하라" 성명 발표
"우려 어느 때보다 커…회원 보호 소홀 안 돼"

대한의사협회가 '의대 정원 확대'에 합의했다는 논란에 휩싸이자 서울시의사회가 의사결정 과정 공개를 요구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가 '의대 정원 확대'에 합의했다는 논란에 휩싸이자 서울시의사회가 의사결정 과정 공개를 요구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와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합의했다는 논란에 휩싸이자 서울시의사회가 의사 결정 과정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의협은 지난 8일 열린 제10차 의료현안협의체에서 보건복지부와 의사 인력 재배치와 확충 방안 논의에 합의했다. 복지부가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대책 차원에서 의사 인력 재배치와 확충 방안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고 이에 논의를 위한 '필수조건'을 제시했다는 게 의협 측 설명이다.

의협은 대회원 서신으로 이 과정을 설명하며 논란 진화에 나섰지만 집행부를 믿을 수 없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관련 기사: 의협 "의사 인력 확충 논의 조건" 해명에도 의료계 '불신').

서울시의사회는 12일 의협에 의사결정 과정 공개를 요청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회원 보호에 최선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정협의체 이후 2025년도부터 의대 정원 확대가 결정됐다는 보도가 쏟아지고 있는데 의협 집행부는 이를 일절 부정할 뿐 논의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의료계 지역과 직역 의사회를 막론하고 의협 집행부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서울시의사회는 "과연 의협 회장은 회원을 보호할 의지가 있는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어느 때보다 높다"며 "의협이 대내외적 신뢰를 잃고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해 의료계 결속을 심각하게 저해할지 모른다는 회원의 목소리를 헛되이 넘기지 말라"고 했다.

정부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반대 입장도 분명히 했다.

서울시의사회는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살리기는 의대 정원 확대로 해결할 수 없다. 법률·행정·재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런 중차대한 문제는 명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논의돼야 하는데도 의대 정원 확대를 밀어붙이는 정부를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시기일수록 난국을 타개할 리더십이 절실하다. 좋은 리더십은 소통에서 비롯된다"며 "사리사욕에 휩싸여 회원의 운명을 함부로 내맡겨서는 안 된다. 의협 집행부는 회원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회원 보호에 소홀히 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