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차상훈 이사장
“사업화 과정서 데스밸리 넘을 수 있게 지원해야”
“대규모 자본과 인력 투자가 어려운 바이오 기업들에게 연구개발, 위탁생산(CMO) 등을 지원해 K-바이오 육성을 돕겠습니다. 공공 부문의 CRDMO(위탁 연구개발생산) 서비스를 통해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Health)의 역할입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차상훈 이사장은 지난 21일 전문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그동안의 지원 성과와 주요 현안,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 등을 설명했다. 차 이사장은 충북대병원 진료처장,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이사장, 국가신약개발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한 전문가다.
지난 2010년 정부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과 함께 출범한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산하에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바이오의약생산센터를 두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의 바이오의약품, 첨단의료기기 제품화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재단은 2021년 10월 규제과학단을 신설하고, 세포주 특성분석 지원센터 구축,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센터 예산 확보, 바이오헬스 혁신창업 기술상용화센터 구축 등의 활동이 이어왔다.
이날 차 이사장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단이 국내 유일 공공영역 CRDMO기관으로서 국내 바이오 생태계 조성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차 이사장은 “재단은 국내에서 유일한 공공영역 CRDMO”라며 공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차 이사장은 “기초연구 결과의 사업화 혹은 스타트업들의 발전 과정에서 난관에 봉착하는 부분을 재단이 직접 나서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에서 기초연구 결과를 사업화하는 과정 혹은 스타트업이 마주하는 데스밸리 구간이 있다”며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확보한 자금이 공간, 장비, 인력확보에 다 투입돼 운영이 오히려 어려운 상황에 놓이는 것을 말한다”고 말했다.
다만, 차 이사장은 현재 재단이 직면한 딜레마 또한 언급했다.
차 이사장은 “재단은 정부의 자금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기에 국가의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적 전략 위에서 움직여야 한다”며 “여기에 여러 상황에서 부족한 재원 조달 및 예산의 효율적 집행이라는 경영적 측면도 기관 내부에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공공영역에서 부족한 개념인 원가 보전이나 이런 부분에는 민간 영리법인의 사고방식도 필요하다”며 “원가 보전을 토대로 공공영역에 필요한 서비스를 조화롭게 제공하려면 재단 자체의 노력도 중요하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