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국내 최초 치료 성공 후 18개월만
킴리아 등 CAR-T 세포치료 주도…임상연구도 활발
김원석 센터장 “경험 바탕으로 치료 표준 정립”
국내에서 처음으로 CAR-T 세포치료를 시작한 삼성서울병원이 그간 치료경험을 토대로 프로세스 정립에 나선다.
삼성서울병원은 26일 CAR-T 세포치료 80례를 돌파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4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불응성 B세포 급성 림프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CAR-T 치료를 시작한 지 18개월 만이다.
삼성서울병원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CAR-T 세포치료센터’를 설립해 다학제 기반 진료 시스템을 가동 중이며, 주 진료과인 혈액종양내과와 소아청소년과 교수진이 CAR-T 치료 전문 코디네이터와 함께 환자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들과 급성 B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급여로 인정된 노바티스 ‘킴리아’ 치료를 시행 중이다.
특히 진단검사의학과, 신경과, 감염내과, 중환자의학과 등 여러 진료과 의료진이 참여하는 다학제 치료와 CAR-T 세포치료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케어 시스템을 구축해 치료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더불어 삼성서울병원은 CAR-T 세포치료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그간 치료 불응성·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들 뿐 아니라 성인 급성 B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 대한 ‘CD19(B세포항원)’ 타깃 CAR-T 세포치료와 부릉성 다발 골수종 환자의 ‘BCMA(B세포성숙항원)’ 타깃 CAR-T 세포치료를 수행한 바 있다.
또 국내 바이오사 ‘큐로셀’과 임상 1상 시험을 진행, 올해 6월 유럽혈액학회에서 CAR-T 세포치료 1상 결과를 발표해 학계 주목을 받았다.
혈액종양내과 김원석 센터장은 “그간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CAR-T 세포치료 프로세스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한다”며 “치료기간 단축 등 환자들이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