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공매도 재개 대상에 65개 제약·바이오기업 포함
주가 하락 여파에 ‘재평가’ 기대와 우려 공존

3일 공매도가 시작된다. 지난해 3월 금융위원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이유로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린 지 일 년여만의 일이다.

이번 공매도 재개는 한국 증시와 더불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주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면서, 각 기업들은 자신의 몸값을 증명하는 시험대에 올라서게 됐다.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되갚는 것을 뜻한다.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을 매도 후 매수해 갚음으로써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이다.

이번에 공매도 재개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에 해당된다. 한국거래소는 시가총액과 거래량 등을 기준으로 연 2회 코스피 917개 종목 중 상위 200개, 코스닥 1,470개 종목 중 상위 150개의 지수 구성종목을 선정한다.

이에 따라 이번 공매도 재개의 영향을 받는 제약바이오 기업은 해당 지수에 포함된 총 65개 기업이다.

코스피 상장 기업으로는 ▲녹십자 ▲녹십자홀딩스 ▲대웅 ▲대웅제약 ▲보령제약 ▲부광약품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신풍제약 ▲영진약품 ▲유한양행 ▲일양약품 ▲종근당 ▲한국콜마 ▲한미사이언스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JW중외제약 ▲SK바이오팜 ▲SK케미칼 등 25곳(가나다 순)이다.

코스닥 상장 기업으로는 ▲네이처셀 ▲녹십자랩셀 ▲녹십자셀 ▲동국제약 ▲레고켐바이오 ▲메드팩토 ▲메디톡스 ▲메디포스트 ▲메지온 ▲삼천당제약 ▲셀리버리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씨젠 ▲아미코젠 ▲안트로젠 ▲알테오젠 ▲에스티팜 ▲에이비엘바이오 ▲에이치엘비 ▲에이치엘비생명과학 ▲엔지켐생명과학 ▲엔케이맥스 ▲엘앤씨바이오 ▲오스코텍 ▲유틸렉스 ▲인트론바이오 ▲제넥신 ▲지트리비앤티 ▲차바이오텍 ▲케어젠 ▲코미팜 ▲크리스탈지노믹스 ▲텔콘RF제약 ▲파마리서치프로젝트 ▲헬릭스미스 ▲현대바이오 ▲휴온스 ▲휴젤 ▲CMG제약 등 40곳이다.

시가 총액 규모로 나누면 코스피200의 경우 ▲10조원 이상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팜 ▲5조원 이상 신풍제약, 유한양행, 한미사이언스 ▲3조원 이상 녹십자, 한미약품, SK케미칼 ▲2조원 이상 녹십자홀딩스, 대웅, 종근당 ▲1조원 이상 대웅제약, 보령제약, 부광약품, 영진약품, 일양약품, 한국콜마, 한올바이오파마 ▲1조원 이하 JW중외제약 등이다.

코스닥150의 경우 ▲2조원 이상 셀리버리,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씨젠, 알테오젠, 에이치엘비, 제넥신, 휴젤 ▲1조원 이상 녹십자랩셀, 동국제약, 레고켐바이오, 메드팩토, 메지온, 삼천당제약, 에스티팜, 에이비엘바이오, 에이치엘비생명과학, 오스코텍, 헬릭스미스 ▲1조원 이하 네이처셀, 녹십자셀, 메디톡스, 메디포트스, 아미코젠, 안트로젠, 엔지켐생명과학, 엔케이맥스, 엘앤씨바이오, 유틸렉스, 인트론바이오, 지트리비앤티, 차바이오텍, 케어젠, 코미팜, 크리스탈지노믹스, 텔콘RF제약,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현대바이오, 휴온스, CMG제약 등이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치료제·백신·진단키트 개발 및 허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제약바이오 섹터에 대한 투자 심리가 뜨거웠던 만큼 이번 공매도 재개 여파는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주가가 본래의 가치보다 과장됐다고 시장이 판단할 경우, 공매도가 그만큼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제약·바이오 주식으로 이뤄진 KRX헬스케어 지수는 지난해 4월 2일 2,964.6에서 지난 4월 30일 4,430.57를 기록하며 일 년 새 49.45%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관련 이슈로 단기간에 시장의 주목을 받았던 일부 기업의 경우, 주가 하락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팬데믹 사태 외에도 임상시험 성패 등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큰 제약바이오업계인 만큼 공매도 재개를 바라보는 평가는 여전히 엇갈린다.

한 제약바이오 IR 담당자는 “지난 한 해 코로나19 관련 이슈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주가에 거품 꼬리표가 따라붙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기업이나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에 대한 가치를 냉정하게 바라볼 시기가 됐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는 산업 전반에 순기능을 할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한해 개인 투자자들의 주식 열풍, 이른바 ‘동학개미’ 현상으로 인해 개인투자자의 유입이 늘어난 상태에서 이들이 갑작스런 주가 하락으로 인한 피해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다른 제약바이오기업 IR 담당자는 “개인투자자가 자유롭게 공매도에 참여할 수 없는 한 기관의 공매도에 개인 주주들의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