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강보험 약제비 지출 27조원…5년만에 7조원↑
성장호르몬주사제, 19세 미만 전연령서 청구금액 증가
김선민 의원 “비용대비 효과성 고려 급여적정성 검토 필요”

최근 5년간 늘어난 건강보험 약제비 가운데 성장호르몬제와 아토피치료제 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최근 5년간 늘어난 건강보험 약제비 가운데 성장호르몬제와 아토피치료제 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성장호르몬제와 아토피치료제 등이 급증한 건강보험 약제비 지출 원인으로 꼽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 약제비 지출은 27조6,625억원으로 2020년(20조3,622억원) 대비 35.9%인 약 7조3,003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청구금액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 의약품을 효능군별로 분석한 결과,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많이 상승한 효능군은 진해거담제였다. 코로나19로 의료이용이 감소해 일시적으로 둔화 후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평균 증가율은 21.4%였다.

그 다음으로 뇌하수체호르몬제가 연평균 21.3% 증가해 뒤를 이었다. 성장호르몬제 사용 증가가 원인으로 꼽혔다. 세 번째로 많이 증가한 효능군은 자격요법제로 중증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지출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연평균 증가율은 16.2%였다.

각 효능군에서 건강보험 청구금액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의약품을 살펴본 결과, 진해거담제 효능군에서는 1-A의약품이 최근 5년간 연평균 158.2% 증가해 2024년 한해 동안 690억원이 청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뇌하수체호르몬제 효능군에서는 2-A의약품이, 자격요법제 효능군에서는 3-A의약품이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81.3%, 69.7%로 지난한 해 동안 청구된 건강보험 청구금액만 각각 341억원, 1,450억원에 달했다.

특히 성장호르몬제와 아토피치료제는 처방인원과 건강보험 청구금액 모두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성장호르몬제의 경우 2020년 1만2,507명이었던 19세 이하 처방인원이 지난해 3만4,811명으로 5년 만에 약 3배 급증했고, 청구금액도 2020년 596억원에서 2024년 1,592억원으로 2.5배 이상 늘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봐도 19세 이하 전 연령에서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증아토피치료제도 같은 기간 1,503이었던 처방인원이 2024년 9,655명으로 5년만에 약 6배 급증했다. 청구금액도 같은 기간 136억원에서 1,400억원으로 약 10배 증가했다.

김 의원은 “최근 건강보험 약제비 지출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맞춰 처방한다고 해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약제들에 대해 비용대비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이런 약제들에 대해 급여적절성 심사를 추가하는 등 약제비 관리에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