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대로 의료계도 '책임지겠다' 당당하게 나서야"
의협 인사들도 "국민과 함께하자" 회원에 변화 당부

의사 출신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동료 교수들에게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청년의사).
의사 출신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동료 교수들에게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개최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는 정부가 벌인 '의료농단'을 저지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는 요구와 함께 의료계도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22일 현장을 찾은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격려사에서 '처단'까지 언급하며 의료계를 억누르는 정부를 비판하는 동시에 의료계도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했다. "의료계 또한 정부와 마찬가지로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고 했다. 특히 순천향대천안병원에서 진료한 교수 출신으로서 동료 교수들에게 "용기 내서 '내가 책임지겠다'고 말해 달라"고 했다.

이 의원은 "의료를 다시 살아나게 할 수 있는 건 의료계뿐"이고 "젊은 의사가 다시 의업을 하고 싶도록 만들 사람도 선배 의사뿐"이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학생이 돌아오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은 오직 교수뿐"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정시 모집을 중단할 유일한 방법은 의대에 권함을 위임하는 것"이라면서 "우리(의대 교수)가 책임질 테니 법적인 문제부터 교육에 이르기까지 준비된 만큼 뽑아서 교육하고 적어도 학교 소송은 우리가 책임지겠다고 학생들 앞에 나서 달라"고 했다.

각 수련병원 교수도 "전공의에게 (수련병원에) 돌아오면 원하는 공부를 가장 효율적이고 가장 전문적으로 다시 잘 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약속해 달라"면서 "엉뚱한 사람을 데려다 (전공의 빈 자리에) 당장 쓸 손을 구한다고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의료를 살리기 위해 정부에 요구하려면 의료계도 '우리가 이런 책임을 지고 이런 희생을 할 테니 정부도 화답하라'고 당당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그것이 우리의 10년 뒤 의료를 살리고 100년 뒤 의료를 살릴 길"이라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개최 전국의사대표자대회 현장 모습(ⓒ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개최 전국의사대표자대회 현장 모습(ⓒ청년의사).

이날 단상에 선 의협 인사들도 의료계 변화를 강조했다.

의협 강대식 회장 직무대행은 "회장 탄핵에 이어 대통령 탄핵까지 초유의 상황에서 하루속히 민심을 수습하고 전열을 정비해야 한다"며 "새해 들어설 신임 집행부를 중심으로 온 회원이 단합해 정부의 잘못된 의료 정책을 제지하고 의료계가 주체적으로 새로운 미래 의료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협 대의원회 김교웅 의장은 "우리는 1년을 끌어온 의료 농단을 종식하고 다가오는 2025년에는 14만 회원에게 희망을 안겨줄 활로를 기필코 찾아야 한다는 절박함으로 이 자리에 섰다"면서 "우리가 달라져야 한다. 우리가 의료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정부의 의료 개혁이 잘못됐다고 우리 모두 나서서 더 적극적으로 또 강한 방법으로 각인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래야만 "국민과 제대로 연대할 수 있다. 이 땅의 모든 국민과 함께해야만 희망이 보인다"며 "우리의 행동으로 결과를 바꿔야 할 시기가 바로 지금"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