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정치적 상황…좀 더 지켜보기로"
齒 "공식 정국 빨리 안정되길 바라"
회원들 "입장 이해한다"면서도 '아쉬움'

보건의료단체가 비상계엄을 발표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규탄 성명을 쏟아내고 있다. 반면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간호협회는 관련된 공식 입장에 대해 논의한 바 없다고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보건의료단체가 비상계엄을 발표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규탄 성명을 쏟아내고 있다. 반면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간호협회는 관련된 공식 입장에 대해 논의한 바 없다고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탄핵정국이 이어지면서 보건의료단체들이 규탄 성명과 시국선언이 쏟아내고 있다.

특히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는 계엄사령부 포고령에 '전공의 등 의료인 미복귀 시 처단'이라는 문구로 분개하며 들끓고 있다. 반면 의사 외 의료법상 의료인에 속하는 한의계, 간호계, 치과계는 상대적으로 조용한 모습이다.

이들 법정단체는 아직까지 비상계엄 관련 공식 입장 발표에 대해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지난 6일 청년의사에 "집행부 차원에서 비상계엄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낼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별한 이유는 없다. 다만 너무 정치적인 상황이라 좀 지켜보자는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치과의사협회 관계자도 "공식 입장과 관련한 논의는 없다"면서도 "빨리 정국이 안정되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했다.

대한간호협회 관계자는 "(공식 입장과 관련해) 아직 아무런 이야기도 없다. 어떻게 보면 현재 어떤 입장을 낼 때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각 단체 회원들은 단체별로 입장과 상황이 다른 만큼 그럴만한 사정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치과계 관계자는 이날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성명서라도 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다고 들었다"면서도 "치협 입장에선 (입장 발표로) 영향이 생길 경우 회원들에게 '왜 발표했느냐'는 소리를 듣지 않을까 우려하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간협 회원으로 관련 활동에 다수 참여한 간호사 A씨도 "원론적으로 간협이 법률상 직능단체인 만큼 정치적인 주장을 하는 게 어려울 것 같다"며 "회원이 워낙 많은 만큼 집행부가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더라도 회원들에게 대표성을 지적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식 입장 관련 논의가 없다는) 간협 입장도 이해는 간다"면서도 "포고령에도 '의료인'이라고 명시된 만큼 '헌법적인 가치는 지켜야 한다' 정도는 말할 수 있지 않나 싶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