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임금 인상, 필수인력 충원, 의료공공성 강화 등 요구
"의료공공성 지키기 위한 대책 내놓지 않으면 파업 돌입"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이 오는 31일부터 무기한 전면 총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는 지난 17일 열린 9차 임시대의원회에서 31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고 18일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노사 측은 지난 7월 23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이번달 16일까지 17차 단체교섭과 15차 실무 교섭을 진행했으나 결국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노조는 사측에 ‘공공병원 살리기 위한 병원노동자 5대 요구’로 ▲실질임금 인상 ▲구조조정 저지 ▲직원에 의료대란으로 인한 경영 적자 책임 전가 중단 ▲필수인력 충원 ▲의료공공성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교섭을 통해 가짜 의료개혁 시범사업에 포함된 공공병상 축소를 저지하고 직원에게 의료대란 책임 전가 중단과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했다"며 "그러나 김영태 원장은 의료대란으로 인한 적자를 이유로 무급 휴가를 부여해 사실상 임금을 삭감하고 필수인력 충원 요구까지 거부했다"고 말했다.
노조는 "의료대란 이후 병원 현장은 사실상 혼란의 연속"이라며 "코로나19 환자의 80%를 치료한 공공병원은 이번에야말로 필수인력 충원과 처우 개선을 기대했다. 그러나 김 원장은 단체교섭에서 직원의 고용을 보장하고 의료대란으로 인한 인사상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요구를 거부했다"고 했다.
김 원장에게 노조 요구안을 수용하고 의료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31일에 시작하는 무기한 전면 총파업은 서울대병원을 정상화하고 공공의료를 지키기 위한 투쟁"이라며 "아직 시간이 있다. 김 원장은 국가중앙병원 역할을 강화하고 의료공공성을 지키기 위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또한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