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국 회장,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 등극
한미사이언스, “신동국, 임주현 이사 선임 반대”

한미사이언스의 최대주주 3인(신동국(한양정밀 회장), 송영숙, 임주현) 연합이 법원에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 신청을 했다. 임종윤‧종훈 형제는 이에 즉각 반발하며 3자 연합 대 형제 측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한미사이언스 CI.
한미사이언스 CI.

한미사이언스의 최대주주 3인은 한미사이언스에 총회 목적사항을 구체화해 임시주총 소집을 재청구했으나 회사측이 아무런 답변을 하고 있지 않아 임시주총 소집을 위한 법원 허가를 신청했다고 4일 밝혔다.

한미사이언스 최대주주 3인은 “지난 7월 상법에 따라 적법하게 청구한 임시 주주총회 청구 건에 대해 한미사이언스는 이사 후보가 특정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소집 절차를 밟지 않았다”며 “최근 총회 목적사항을 구체화해 소집을 재청구했으나 여전히 아무런 답변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법원에 임시주총 소집 허가를 신청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대주주 3인은 기존 10명 이내로 정하고 있는 이사회 구성원 수를 11명으로 늘리는 정관 변경의 건과, 이에 따른 이사 2인 추가 선임에 대한 의안을 명시했다. 추가 선임을 요청하는 이사 2인은 신동국 회장(기타비상무이사), 한미그룹 임주현 부회장(사내이사)이다.

최대주주 3인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세종은 "상법에 따라 정당하게 요구한 임시 주주총회 소집에 대해 한미사이언스는 현재까지 소집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며 "최대주주 3인은 더이상의 기다림은 무의미하다고 판단, 법원에 임시주총 소집 허가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개최될 임시주총을 통해 최대주주 3인은 한미약품그룹이 전문경영인 체제로 구축되는 계기를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한미사이언스 주주가치 제고를 갈망하는 많은 소액 주주분들의 지지와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4일 공시에 따르면, 신동국 회장과 송영숙 회장, 임주현 부회장의 한미사이언스 지분 매매에 따른 대금 지급과 주식 이전 등 거래가 지난 3일 마무리되면서, 신동국 회장이 한미사이언스의 최대주주로 등극했다.

신 회장은 지난 7월 3일 송영숙 한미 회장, 임주현 부회장이 보유한 한미사이언스 지분 6.5%(444만4187주)를 매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달 3일 이 거래가 마무리되면서 신 회장이 보유한 한미사이언스 지분이 약 14.97%, 한양정밀이 보유한 한미사이언스 지분이 약 3.95%가 되면서 신동국 회장이 한미사이언스의 지분 18.9%를 확보했다.

신동국 회장은 한미사이언스의 핵심 자회사인 한미약품의 지분도 7.72% 보유하고 있다. 이는 한미사이언스(41.42%)와 국민연금(9.27%)에 이은 보유량이다.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사내이사와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의 지분은 각각 12.46%, 9.15%다.

임종윤‧종훈 형제 측은 3자 연합의 임시주주총회 소집에 즉각 반발했다.

한미사이언스는 4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신동국 회장과 임주현 부회장의 사내이사 선임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한미사이언스는 “3자연합이 이사회 구성원수 1인 추가(현재 10인에서 11인) 정관변경과 더불어 현재 공석인 1인과 추가 1인 몫에 신동국, 임주현을 당사 이사회 이사로 선임하고자 하는 것은 임주현 부회장을 지주사 대표로 앉히려는 수순”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한미사이언스는 현재 상황이 정관변경과 이사회 재구성을 고려할 만큼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각 계열사는 이미 자리잡은 전문경영인체제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고, 지주사 또한 전문성 있는 리더그룹 및 실무진들이 원활한 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사이언스는 “3자연합이 추진하는 전문경영체제라는 것도 결국 회사의 실제주인이 신동국 회장으로 바뀌고 회사경영은 허수아비 전문경영인이 수행하는 파행이 불보듯 뻔한 상황”이라며 “당사는 한미그룹의 지주사로써, 모든 계열사 전체의 미래, 그리고 주주와 구성원모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불온한 시도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