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생명 지키지 못하는 불행의 씨앗된 사례”
“정부, 의대 증원만 외치는 무책임한 태도 멈춰야”
의대 증원 정책을 우수 혁신 사례로 꼽은 정부를 대한의사협회는 “자화자찬하며 정신승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의대 증원 정책을 미래 위기·위험 선제 대응 우수 사례 7개 중 하나로 선정했다고 발표한 행정안전부를 향해 이같이 말했다(관련 기사: 의료파탄 우려 나오는데…정부, 의대 증원 ‘혁신 사례’로 선정). ‘미래를 파괴하는 정부’ 분야 ‘미래 위기·위험 선제 붕괴 사례’로 명칭을 변경하라고도 했다.
의협은 “의대 정원 증원이 미래 위기·위험 선제 대응 우수 사례 중 하나로 꼽혔다는 대목에서 혹시 거꾸로 반대 사례를 잘못 선정한 게 아닌지 두 눈을 의심하게 한다”며 “의대 증원이 앞으로 몰고 올 파장을 고려하면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위기와 위험을 갑자기 앞당겨 의료시스템을 붕괴시키고 국민 건강과 생명을 지키지 못하는 불행의 씨앗이 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현 정부의 수준이 어떠한지 보여준다”며 “의료 사태로 인해 많은 국민이 불안을 느끼는 상황을 우수한 사례로 보는 현 정부의 태도에 유감을 표한다”고도 했다.
의대 증원 백지화를 제외한 전공의 요구사항 대부분을 수용했다는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해서도 “일방적이고 무리한 의대 증원 정책으로 인해 촉발한 현 의료사태에서 의대 증원을 제외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오직 의대 증원만 외치는 무책임한 태도를 멈추고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한 정책이 진정한 우수 혁신 사례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송수연 기자
soo331@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