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소문 내고 의·정 상호합의 도출 촉구
"의료 질 저하되고 환자안전 위협 상황"

한국의료질향상학회가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의료의 질과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의료 정상화를 위한 상호합의 도출을 촉구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한국의료질향상학회가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의료의 질과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의료 정상화를 위한 상호합의 도출을 촉구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의대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의료계 내에서도 서로 한 발씩만 양보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의료질향상학회는 지난 24일 의료계와 정부를 향한 호소문을 통해 "의정 갈등 사태로 의료의 질과 환자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발생하고 있다"며 "서로 일보씩 양보해 진정한 대화를 나눠달라"고 요청했다. 학회는 서로 수용할 수 없는 전제조건을 제시하며 대립하지 말고 대화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절제된 언어를 구사해 달라고도 했다.

학회는 “의료정책 현안에 관한 입장 차이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의대생들이 학교에 돌아오고 있지 않는다”며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전국 의료기관은 급작스런 업무 재배치와 의료진 소진으로 의료의 질이 저하되고 환자안전이 위협받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학회는 “근시일 내 사태가 해결될 것이라는 초반 기대와는 달리 끝이 언제일지 장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대형병원 의료진은 집중력과 체력의 한계에 도달하고 있고 중소병원은 중환자 증가와 의료진 업무과부하가 우려된다”고 했다.

의료질향상학회는 “대한민국 모든 보건의료인과 의료기관 임직원들이 이번 사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을 희생해가며 노력하고 있지만 이런 임시방편 노력은 지속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고도 했다.

의료질향상학회는 정부와 의료계를 향해 의료의 질과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상호합의를 도출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대화에 임해 달라. 서로 받아들일 수 없는 전제조건을 내민다면 이해도 없고 대화도 없다”며 “정부도 의료계도 의료의 질과 환자안전을 가치 판단과 의사결정의 준거로 삼고 강대강 대치 속에 의료의 질과 환자안전이라는 큰 가치가 경시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이번 사태를 정상화하고 모든 보건의료인들이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서 환자들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합의를 도출하는데 힘써 달라”면서 “의료계와 정부가 서로 양보해 근시일 내 해결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믿지만 학회 차원에서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