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이사회에서 의
이창재 대표와 각자대표 체제
대웅제약은 28일 이사회를 열고 박성수 신임 대표 선임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대웅제약은 이원화된 CEO 체제를 운용, 각자대표 2명이 회사를 이끈다. 이번에 선임된 박 대표는 글로벌 사업과 R&D를, 지난 2022년 선임된 이창재 대표는 국내 사업과 마케팅을 총괄한다.
박성수 신임 대표는 서울대 약학대학 제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약화학 석사를 취득한 뒤 1999년 대웅제약에 입사했다. 이후 대웅제약에서 개발·허가·마케팅·글로벌 사업 등 주요 직무를 두루 맡으며 다수의 신사업 기회를 창출했으며, 2011년부터 미국에서 Daewoong America Inc. 법인장을 역임하다가 2015년에 한국에 복귀하며 나보타 사업본부장을 맡았다.
이후 2021년에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나보타본부와 글로벌 사업본부, 바이오R&D본부와 법무실을 총괄해왔다. 박 대표는 나보타의 미국 FDA 승인을 주도, 전세계 70개국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면서 재임기간 실적을 20배 이상 성장시키는 등 대웅제약의 글로벌 사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 대표는 취임사를 통해 “영업이익 1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신사업, 글로벌 확장과 더불어 신약·제제·바이오 연구성과를 극대화해 회사의 체질을 고수익·글로벌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이와 함께 ▲1품 1조 신약 블록버스터 육성 ▲신약개발 전문기업 도약 ▲대웅제약 기업가치 20조 달성 등의 비전도 내놓았다.
박 대표는 대웅제약 대표 브랜드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통해 ‘1품 1조’ 블록버스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박 대표는 “국내 사업만으론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R&D와 글로벌 사업 집중을 통해 고수익 블록버스터 위주로 품목구조를 재편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대웅제약의 3대 혁신 신약 나보타, 펙수클루, 엔블로를 '1품 1조'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만들고, 세계 최초 특발성 폐섬유증 신약으로 개발 중인 베르시포로신 등 유망 신제품들을 제2의 나보타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취임 전 본부장으로서 나보타의 FDA 승인, 미국 진출을 주도했던 박 대표는 나보타 사업의 업그레이드 계획도 밝혔다. 나보타의 중국 진출 및 치료 시장 진입 등을 통해 단일 품목 ‘영업이익 3000억원’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박 대표는 인도네시아와 중국의 현지 법인을 제2의 대웅제약 수준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청사진도 내놨다. 특히 인도네시아에는 단순 판매법인이 아닌, 연구부터 생산, 개발 및 사업화까지 전 밸류 체인(Value chain)을 현지화해 글로벌 허브로 성장시키겠다며 성공을 다짐했다. 박 대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글로벌 역량이 충분히 누적되면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직접 판매를 통해 가치의 극대화를 추구하겠다”고 전했다.
“신약개발 전문 기업으로 거듭나겠다”
박 대표는 또 “신약개발은 3대 핵심 질환군에 집중하고, 프로세스를 고도화해 해당 영역에서는 글로벌 Top 20위 수준 신약개발 역량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C&D(Connect & Development, 개방형 협력) 역량 및 글로벌 전문가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도 세웠다.
바이오·제제 분야에서는 당뇨, 비만, 감염, 정형외과, 신경정신, 줄기세포, 명품 OTC 등에 집중해 ‘글로벌 최고’ 수준을 지향할 계획이다. 주요 기술은 플랫폼화 해 글로벌 오픈 콜라보레이션으로 극대화시키기로 했다. 박 대표는 만성질환을 근본부터 예방, 치료해 모두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 제공도 강조했다.
“대웅제약 시총 10년 안에 20조원으로”
박 대표는 “대웅제약의 시총을 3년 안에 5조원, 10년 안에 20조원 대로 성장시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회사를 퀀텀 점프시킬 수 있는 신사업과 새로운 성장 동력에 집중해 체질을 재편하고 미래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대웅제약의 시총은 약 1조4,000억원이다.
박 대표는 대웅의 전통적 미덕인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적재적소에 최고의 인재를 배치하고 우수한 동료들과 적극적인 소통 협력을 통해 ‘일할 맛 나는 일터’를 구축하겠다는 다짐이다. 해외 우수인재를 적극 육성해 이들을 통해 글로벌 사업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관련기사
- 대웅제약-종근당, 펙수클루 공동판매
- 대웅‧대웅제약, 정기주총 개최…“1品1조 달성할 것”
- 대웅제약, 줄기세포 치료제 생산·연구 인니 거점 확보
- 대웅제약, 매출 1조3753억 기록…전년 대비 7.4%↑
- 대웅 독주 턱밑 지방분해 주사제 시장, 각축전 예고
- 대웅제약, '에너씨슬 퍼펙트샷X와다다곰’ 콜라보 출시
- 대웅바이오 "‘포시다파정’, 서울아산병원서도 처방"
- 대웅제약, ‘엔블로정’ 멕시코 품목허가 신청
- 대웅제약, 회사채 1950억으로 증액 발행
- 대웅제약 보툴리눔톡신 '나보타' 아르헨티나 허가
- 대웅제약, 사우디서 ‘나보타’ 출시…중동 최대 시장 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