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024년도 상반기 전공의 1년차 선발결과 공개
소청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내과 등 확보율 하락세
비수도권 지역 전공의 확보율 2023년 대비 13.7% 증가
내년도 상반기 전공의 1년차 선발결과는 지원결과와 비슷했다. 인기과와 비인기과 희비가 극명히 갈렸다. 지원자 자체가 적었던 소아청소년과는 모집 정원의 4분의 1만 채웠고, 응급의학과와 산부인과, 내과는 전공의 확보율이 떨어졌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7일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전기모집 선발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진행된 전기모집 수련병원 전공의 1년차 선발결과로, 병원 총 144곳에서 3,356명을 모집해 필기시험과 면접 등을 거쳐 총 2,792명이 선발됐다.
모집정원 대비 선발 인원 비율을 나타낸 확보율은 83.2%로 3,319명 모집에 2,724명을 선발한 2023년도 전기모집 확보율(82.1%)보다 소폭 증가했다.
과목별로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06명 모집에 54명이 선발돼 정원의 26.2%만 채웠다. 2023년도 전공의 확보율(17.6%)보다 8.6%p 상향됐지만 여전히 부족한 수치다. 소아 중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수련병원에 1년차 전공의 54명이 전부인 셈이다.
산부인과도 마찬가지다. 산부인과는 정원 183명 중 116명을 선발해 확보율은 63.4%에 그쳤다. 이마저도 2023년도 선발결과보다 8.5%p 하락한 수치다. 심장혈관흉부외과도 정원 63명에 24명을 선발해 확보율 38.1%에 그쳤다.
응급의학과도 193명 정원에 148명을 선발해 확보율 76.7%로 2023년 전공의 확보율 대비 7.5%p 떨어져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내과는 정원 622명에 593명을 선발해 확보율 95.3%를 기록했으나, 2023년 전공의 확보율 대비 2.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상의학과, 안과, 피부과, 성형외과, 이비인후과 등 인기과들은 전공의 확보율 100%를 기록했다.
복지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전공의 정원 조정에 따라 비수도권 지역 선발된 전공의가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선발된 전공의는 2023년 968명에서 2024년 1,101명으로 13.7%인 133명이 늘어난 반면 수도권은 같은 기간 1,756명에서 1,691명으로 65명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소청과는 2023년 3명에서 2024년 10명으로 7명 증가했고, 내과와 외과, 산부인과도 2023년 대비 각각 16명(230명⟶246명), 6명(37명⟶43명), 1명(27명⟶28명)이 증가했다.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도 비수도권 지역에서 선발된 전공의가 각각 26명(46명⟶72명), 17명(76명⟶93명), 12명(36명⟶48명), 3명(44명⟶47명) 증가했다. 다만 응급의학과는 1명(61명⟶60명) 감소했다.
한편, 복지부는 28일까지 2024년 상반기 전공의 1년차 후기 모집 원서접수를 실시한다. 오는 2024년 1월 15일부터 16일까지는 추가모집 원서접수가 진행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수련보조수당 드립니다” 대학병원들 '전공의 모시기' 전쟁
- 젊은 의사도 '망한' 필수의료가 궁금하다…답 찾아나선 의대생들
- 醫 "전공의 모집 결과 보고도 의대 정원 확대?"…政 “계획대로”
- 지역 인턴 정원 부족…수도권 의사 쏠림으로 이어져
- 소청과·외과 정책 효과? 젊은의사들 "政 문제 뭔지도 몰라"
- 비뇨의학과 지원율 100% 넘겼지만…"정원 증원 없다"
- 정부 정책 효과로 소청과 지원율 반등? 소청과학회 “착시효과”
- 전공의 미충원에 전문의 이탈까지 걱정해야 하는 대학병원들
- 이번엔 전공의 충원될까…내과 포함 11개과 추가모집
- 산부인과 레지던트 절대 다수 '수련 포기'…"이대로면 파국"
- '역효과'만 낸 전공의 정원 조정…"무엇을 위한 '5대 5'였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