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생 대비 인턴 정원 비율, 수도권 156%·강원권 26%
신현영 의원 “구조적 수도권 의사 쏠림…시스템 정비 必”

지역의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의대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전공의 수련과 지역병원 취업의 선순환 구조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청년의사).
지역의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의대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전공의 수련과 지역병원 취업의 선순환 구조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청년의사).

지역 의과대학을 졸업하더라도 해당 지역 수용 가능한 인턴 정원이 부족해 수도권 의사 쏠림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왔다. 의대 정원 확대만으로는 지역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지역별 의대·의학전문대학원 졸업생 수와 지역별 모집 인턴 정원을 분석한 결과, 의대 졸업생 수 대비 인턴 정원이 적은 지역일수록 의대 졸업 후 타권역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턴 정원 비율을 50대 50으로 조정하기 전까지를 분석한 결과다. 복지부는 내년 1월 24일부터 26일까지 수도권 50%, 비수도권 50%로 정원을 조정한 2024년도 인턴 전기모집을 진행한다.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

지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의대 졸업생 수 대비 인턴 정원 현황을 살펴보면 전국 의대 졸업생 수는 총 3만1,516명이었고 인턴 정원은 3만2,557명으로 졸업생 수 대비 인턴 정원 비율은 103.3%였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의대 졸업생 수 대비 인턴 정원 비율은 156.3%로 가장 높았고, 영남권 77.0%, 호남권 51.8%순이었다.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권으로 10년간 의대 졸업생 수가 2,760명인 것과 대조적으로 인턴 정원은 25.9%인 714명이었다.

지난 2014년 대비 2023년 전국 의대 졸업생은 3,317명에서 3,070명으로 감소했고, 인턴 정원도 3,390명에서 3,255명으로 줄었다. 그러나 전국 의대 졸업생 수 대비 인턴 정원 비율을 계산하면 같은 기간 102.2%에서 106.0%로 3.8%p 증가했다.

지역 내 인턴 정원 적을수록 타권역 이탈률 ‘증가’

최근 10년간 의대 졸업 후 출신 대학과 다른 권역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는 비율과 졸업생 수 대비 인턴 정원 비율 비교에서는 인턴 정원이 많은 권역일수록 이탈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인턴 정원 비율이 156.3%로 가장 많은 지역인 수도권을 살펴보면 수도권 소재 의대 졸업생 1만822명 중 타권역 이탈률은 2.6%(279명)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 인턴 정원 비율이 25.9%로 가장 낮았던 강원권의 경우 전체 2,501명 중 이탈률이 73.7%(1,842명)로 가장 높았다.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

신 의원은 지역의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 의대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전공의 수련과 지역병원 취업의 선순환 구조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지역 의대를 졸업하더라도 그 지역에서 수용 가능한 인턴 정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도권 의사 쏠림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며 “의사 정원 확대만으로 취약한 지역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명확한 한계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지역 수련병원에 대한 국가 투자가 확대돼야 하지만 오는 2024년도에 반영된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지역 의대 졸업 후 전공의 수련, 지역 병원 취업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스템 정비를 비롯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