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비수도권 거주 암 환자 103만4155명 빅5병원 찾아
의료 인프라 열악한 지방 환자 광역시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김영주 의원 “실태조사 통해 진료기간 이송주거 대책 마련 必”

빅5병원 암 환자 10명 중 4명은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청년의사).
빅5병원 암 환자 10명 중 4명은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청년의사).

빅5병원 암 환자 10명 중 4명은 지방 거주자로 파악됐다. 최근 5년간 암 치료를 받기 위해 지방에서 빅5병원을 찾은 환자는 100만명을 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이 암 환자 원정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암 환자 103만4,155명이 빅5병원에서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해 약 20만명이 암 진료를 위해 지방에서 서울을 찾는 셈이다.

최근 5년간 빅5병원 암 환자 수는 매년 늘고 있는 추세지만 비수도권 거주자 비중에 큰 변화는 없었다.

빅5병원 암 환자 수는 지난 2018년 48만9,881명에서 2022년 57만9,828명으로 18.4% 늘었다. 전체 암 환자 가운데 비수도권 거주자 비중은 같은 기간 39.1%에서 38.7%로 비슷하게 유지됐다.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실)
(자료제공: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실)

특히 광역시보다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지방 거주 암 환자들이 빅5병원을 더 찾았다.

시도별로 최근 5년간 빅5병원을 찾은 암 환자 수를 살펴보면 경북이 12만4,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11만9,000명 ▲충남 11만7,000명 ▲충북 9만4,000명 ▲강원 8만6,000명 ▲전남 7만9,000명 ▲전북 7만7,000명 ▲제주 3만1,000명 순이었다.

광역시 등은 ▲부산 8만5,000명 ▲대구 5만9,000명 ▲광주 4만3,000명 ▲대전 6만6,000명 ▲울산 3만1,000명 ▲세종 1만8,000명 등으로 비교적 적었다.

김 의원은 “비수도권 거주 환자들은 암 질환으로 인한 통증과 체력저하로 거동이 어렵지만 장거리를 오가며 진료를 받거나 빅5병원 근처 고시원이나 오피스텔 등 환자방을 구해 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소아암 환자나 70대 이상 노인 환자의 경우 원정 진료에 의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지만 지난 5년간 비수도권 거주 10세 미만 암 환자 5787명, 70대 이상 암 환자 5만5,511명이 빅5병원을 찾았다.

김 의원은 “중증질환들이 장거리를 이동하며 진료 받는 것은 금전적으로나 체력적으로 부담이 크지만 지역에 중증환자 치료 인프라가 부족해 울며 겨자 먹기로 서울로 상경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장기적으로 중증환자 치료를 위한 지역 의료 인프라와 인력을 강화하되 비수도권 중증질환자 실태조사를 통해 이들 환자와 보호자의 이송주거대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