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 이진우 차기회장 "우리 주장만 고집해선 안돼"
사회적 압박 높아지는데 의료계 고립 자초 우려
정지태 회장 "정부 욕만 해선 아무것도 해결 안 된다"
의사들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의료 일원화를 '무조건 반대'해서는 고립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의학계에서 나왔다. 의료 현안을 두고 "사회와 협력하며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의학회 차기 회장인 연세의대 이진우 교수(정형외과)는 15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의학회 학술대회 기조 강연에서 의료계가 거세지는 사회적 압박을 돌파하기 위해 "양보할 것은 양보하면서 대의를 확립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물론 사회 전체가 의사의 사회적 역할 확대나 의대 정원 증원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의료계가 그 어떤 논의도 거부하고 기존 입장만 고수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외부 의견 수렴 없이 의료계 입장만 내세우면서 논리적 일관성을 잃었다고도 했다. 의대 정원 확대나 공공의대 신설에 대해 "의사 증원은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전문과 인력 수급에서는 "학회별로 전문의가 부족하다고 한다"며 "지금 사회는 의사들이 의사 증원을 바라는지 바라지 않는지 혼란스런 시선을 던지고 있다"고 짚었다.
진료보조인력(PA) 문제도 이런 혼란을 가중하고 의료계 입지를 어렵게 만든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의료계는 PA도 안 된다. 의사 증원도 안 된다. 그런데 모든 일은 다 의사가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런 논리 때문에 의료계가 사면초가에 몰렸다. 이래서는 (난국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따라서 ▲기피과 지원 ▲의료취약지 수급 유인책 ▲커뮤니티케어 등 의료 정책 변화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고려하면서 정부는 물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의사 인력 수급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한의사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 판결로 다시 부상한 의료 일원화 문제도 재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 "한 해 700명 넘는 한의사가 배출되고 있고 현대 의료기기 사용 요구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국민 건강과 보건 향상 관점에서 의료 일원화를 한 번 더 논의해야 한다"며 "(의료 일원화로) 의사 정원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하다. 앞으로 의료계가 보다 전향적으로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회 일원으로서 의료계가 사회와 분리될 수는 없다. 오로지 우리 주장만 고집하지 않나 돌아보게 된다"며 "지식이 많다고 지성인이 아니다. 우리가 틀렸을 수도 있다는 자세로 대화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했다.
정지태 의학회장 "행정·사법·입법 모두 의사 향해 칼 가는 듯"
의학회 정지태 회장(고려의대)도 개회사와 기조강연을 통해 "자기 일 외에 무관심한 자세는 큰 문제"라면서 의료계가 더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는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라고 했다.
정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진정 양상으로 접어들며 정부는 의료계와 소통하는 시늉만 하는 상태로 되돌아갔다. 행정과 사법, 입법 모두 의사를 향해 칼을 간다고 느낀다"고 했다.
정 회장은 "이런데도 (의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정부를 욕하거나 관심을 갖지 않는 의사단체가 많다. 그래서는 어떤 일도 해결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주요 학회가 80주년을 바라보는데 과연 100년 이후까지 몇 개 학회가 살아남을지 심각히 우려된다. 모두 함께 참여하고 의료계 문제를 나눠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지난날을 돌아보고 현재를 평가하고 미래를 기획할 때다. 학술대회 주제를 '소통과 공감 그리고 한 걸음 더'로 삼은 이유가 여기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한덕수 총리 "의사 증원 필요…의대 인재 편중 바람직하지 않아"
- '의대 정원' 암초 걸린 의료계…"반대하지만 행동할 힘이 없다"
- 한의협 "한의대 정원 줄여 의대 정원 늘리자"
- 3058명인 의대 정원, 이번엔 늘린다…정부 의지 확고
- "필수의료 문제 해결 위해"…‘공공의대 설립’ 군불 때는 정치권
- 의대 정원 확대 논의가 의료일원화로 이어질까
- 간호법 넘자 ‘의대 정원 확대’ 왔다…엔데믹에 의·정 논의 시작
- 의사들에겐 "매력적이지 않은" 필수의료…의대 정원 늘리면?
- 의료현안협의체서 ‘의료계 20년 투쟁사’ 나열한 복지부
- "의사 수 확대, 필수의료 인력으로 유입되도록 할 것"
- "政, 의협에 끌려다녀…의대정원 확대 사회적 논의체 구성하라"
- 의사 수 늘린 그리스는 왜 공공병원에 의사가 없나
- 지역·필수의료 의사, '얼마나' 보다 '어떻게' 늘릴지에 집중해야
- 의협 집행부 탄핵 추진되지만 대의원회 “의대 정원 논의는 해야”
- “이대로 의사 수만 늘리면 의료이용 통제 어려워”
- "의사 인력 부족→PA 불법의료로…의대 정원 확대해야"
- 의료계 불참‧간호계 반발에도 政 "이달 중 PA 논의 시작"
- "OECD 밑돈다?…의대 정원 유지만 해도 '의사 과잉'"
- 한의사 ‘피부미용기기’ 사용 확대 움직임에 의료계 경계
- “의사 증원, 공공의료로 제한하자…무조건 반대는 한계”
- "군·경찰 의대도 만들자고 할 건가"…'의대 신설 만능주의' 비판
- 의사 증원에 의료계 '폭발'…"1000명 늘려도 정부 뜻대로 안 돼"
